학술논문
화상교육을 활용한 한국어 튜터링 사례 연구
이용수 28
- 영문명
- A Case Study of Korean Tutoring Using Video Conferencing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서진숙 방성원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74호, 213~23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one-to-one tutoring program and apply it to the field so that students studying Korean online can continue their studies without interruption of Korean language use after the end of the semes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s of tutees and tutors participating in the tutoring program.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real - time Korean language tutoring program for Korean learners, outside of the regular curriculum, effectively increased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maintained Korean learning motivation, and increased interest in learning strategies. The tutoring of the preliminary Korean teachers provided the sense of stability of ‘teacher and friend’ to the beginner learners, and it provided the tutor with real Korean education experience and showed high mutual satisfaction. Also, in regards to the learner’s Korean language grade, it was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upper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ower group.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different ways to design a tutoring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 tutees’ Korean language grades and positive drive on their learning attitud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procedures for preparation and use of tutoring materials for the tutor, a prospective Korean teacher.
목차
1. 서론
2. 화상교육과 튜터링 프로그램
3. 화상 한국어 튜터링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4. 튜터링에 대한 인식 조사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대학교 한국어 학습자의 동기저하 요인 연구
- 중국 내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접속부사의 오류 양상 연구
- 韓語飲食慣用語及其文化與認知分析
- 협력학습이 한국어 자기효능감과 수업 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한ꞏ중 ‘아프다’, ‘痛’류 어휘의 의미 양상 대조 연구
- 미국 대학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지속 동기 연구
- 한국어 교재에 대한 텍스트기호학적 연구 시론
- 한국어 예비교원의 국외 ‘사전 실습’ 프로그램 개발과 실제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 전략을 구성하는 언어적 표현 및 발화 내용 분석
- 청소년 한국어(KSL) 학습자를 위한 ‘학습 도구 한국어’ 교육 내용 연구
- 논증 기반의 언어평가 타당화 연구의 이해
- 화상교육을 활용한 한국어 튜터링 사례 연구
- 내용 중심 교수법에 기반한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학습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메타언어 서면 피드백에 대한 오류 수정 실패 요인 분석
- 한국어 학습자의 모어 간섭에 의한 오류에 대하여
- 한국어 추측 표현의 화용적 특성 연구
- 특수 목적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내용 기반 한국어 수업 구성 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