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 분석 연구
이용수 52
- 영문명
- An Analysis on Korean Speaking Anxiety of Thai Learner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Patee, Isariya Samipak, Wissuta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85호, 317~34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anxiety that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encounter when speaking Korean by identifying the different factors that lead to Korean speaking anxiety in Thai learners with low-level, intermediate-level and high-level Korean proficiency. The factors a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communication apprehension, fear of teacher evaluation, fear of peer evaluation, anxiety related to practicing methods, and anxiety in Korean speaking class. After conducting a survey on 140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e result suggests that low-level learners are not much affected by anxiety related to practicing methods, but rather significantly affected by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highly affected by fear of teacher evaluation, peer evaluation and anxiety in Korean speaking class. On the other hand, the intermediate and high-level learners were found to have a high level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but they are not much affected by fear of teacher evaluation, peer evaluation, anxiety related to practicing methods, and anxiety in Korean speaking class. Moreover, this study also measured the level of anxiety in each question that is related to each of the five factors. The findings substantiate the types of anxiety factors that really affected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suggest that these factors must be handled so that the anxiety of the learners will subsid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19 상황 한국어문화교육에서의 비대면 문화체험교육에 관한 전통공예기능인들의 인식과 대응 연구
- 공손 표현에 대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인식 차이 비교 연구
-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 분석 연구
- 자기결정성 이론에 기반한 한국어 학습자의 학문적 학습 동기 항목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신남방 국가의 학습자 변인과 한국어 교육
- 중급 한국어 학습자 발화의 조사 연속 구성 연구
- 세종학당의 한국어 초급 콘텐츠 재정비 및 활용 방안 연구
- 필리핀 중등학교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 한국어 입문 단계 교육 자모 제시 방법 연구
-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 현대몽골어와 한국어 양 언어 학습자를 위한 명령문 대조 연구
- 말뭉치를 활용한 ‘-으러’, ‘-으려고’의 사용 양상 분석 연구
- 한국어 교사의 쓰기 채점 방식이 쓰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