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입문 단계 교육 자모 제시 방법 연구
이용수 68
- 영문명
- A Study on how to Present Hangeul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Introductory Sta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angeul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김참이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85호, 81~10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ffective Hangeul teaching method at the introductory sta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n educational plan to expand the number of Hangeul letters from 17(8 vowels and 9 consonants) to 40 characters by adding or combining strokes on basic characters which were selected by the researcher. To increase the readability of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each step was presented in a table so that learners could logically understand the concept of expanding letters. The educational effect was statistically verified by conducting the ‘Hangeul summer course’ for four weeks for two different classes composed of Italian studen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could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Hangeul by early Korean learners, and it was particularly effective in the ‘reading’ part. However, the fact that the experiment was held online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subject with prior Hangeul learning experience was mixed in the randomly recruited sample group remains a limitation of this study.
목차
1. 서론
2. 사전 연구 검토 및 자모 교육 방법 제시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19 상황 한국어문화교육에서의 비대면 문화체험교육에 관한 전통공예기능인들의 인식과 대응 연구
- 공손 표현에 대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인식 차이 비교 연구
-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 분석 연구
- 자기결정성 이론에 기반한 한국어 학습자의 학문적 학습 동기 항목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신남방 국가의 학습자 변인과 한국어 교육
- 중급 한국어 학습자 발화의 조사 연속 구성 연구
- 세종학당의 한국어 초급 콘텐츠 재정비 및 활용 방안 연구
- 필리핀 중등학교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 한국어 입문 단계 교육 자모 제시 방법 연구
-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 현대몽골어와 한국어 양 언어 학습자를 위한 명령문 대조 연구
- 말뭉치를 활용한 ‘-으러’, ‘-으려고’의 사용 양상 분석 연구
- 한국어 교사의 쓰기 채점 방식이 쓰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