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급 한국어 학습자 발화의 조사 연속 구성 연구
이용수 20
- 영문명
- A Study on Intermediate-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Development of Combined Particle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이승연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85호, 187~21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frequency and accuracy of the combined particles observed in the spoken data of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learners.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ith the previous study results on beginner-level learners’ data, we tried to discover the differences that occur according to the language proficiency level. Free convers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6 intermediate-level learners over 6 months and a spoken corpus was constructed. As a result of collecting and analyzing a total of 132,000 word-size data, the intermediate learners used 23 types of combined particles composition 138 times in total. Of these, 72 were grammatically correct and 66 were classified as errors, resulting in an error rate of about 48.5%. This is 12.7% higher than the beginner’s error rate (35.8%), indicating that the accuracy of the combined particles is very low at the intermediate level. In Korean particle combination, case-markers and particles cannot be used as precedents. However, it seems this rule is not well established in the intermediate level as can be found through the frequent errors such as ‘을/를 도, 은/는도, 이/가도’. We stress the need for comprehensive education on particles at an appropriate time within the curriculum so that errors in the composition of combined particles in the learner’s language would not be ‘fossilized’.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lluminate the process of learners’ grammar acquisition and its development by observing the patterns of particle combination.
목차
1. 서론
2. 연구의 배경
3. 연구 방법 및 절차
4. 분석 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19 상황 한국어문화교육에서의 비대면 문화체험교육에 관한 전통공예기능인들의 인식과 대응 연구
- 공손 표현에 대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인식 차이 비교 연구
-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 분석 연구
- 자기결정성 이론에 기반한 한국어 학습자의 학문적 학습 동기 항목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신남방 국가의 학습자 변인과 한국어 교육
- 중급 한국어 학습자 발화의 조사 연속 구성 연구
- 세종학당의 한국어 초급 콘텐츠 재정비 및 활용 방안 연구
- 필리핀 중등학교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 한국어 입문 단계 교육 자모 제시 방법 연구
-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 현대몽골어와 한국어 양 언어 학습자를 위한 명령문 대조 연구
- 말뭉치를 활용한 ‘-으러’, ‘-으려고’의 사용 양상 분석 연구
- 한국어 교사의 쓰기 채점 방식이 쓰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