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사의 쓰기 채점 방식이 쓰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5
- 영문명
- The Effect of Korean Teacher’s Writing Grading Method on Evaluation of Korean Writing Proficiency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신희랑 원미진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85호, 167~18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how Korean teachers’ writing grading methods affect writing scores for advanced learners. In addition, we tri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valuation criteria of analytic grading and the comprehensive grading, and to find out which sub-criteria has the greatest relevance among them. Lastly, it was examined whether the difference in experience of teaching Korean and the difference in their experience of grading TOPIK are factors that affect the writing scoring. To this end, 30 skilled Korean teachers who teach Korean at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in University with different backgrounds, including experience teaching Korean, advanced Korean learners’ education experience, and experience of grading TOPIK, grade advanced learner’s writing in comprehensive and analytic wa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aters differed in their writing scores according to the grading method, but they give more strict scores for analytical grading than comprehensive grading. Second, all five sub-criteria of analytic grading had high correlation with comprehensive grading. Last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ers’ experience of teaching Korean and experience of grading TOPIK did not affect the analytic grading,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grading TOPIK affected the Comprehensive grading.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19 상황 한국어문화교육에서의 비대면 문화체험교육에 관한 전통공예기능인들의 인식과 대응 연구
- 공손 표현에 대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인식 차이 비교 연구
-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 분석 연구
- 자기결정성 이론에 기반한 한국어 학습자의 학문적 학습 동기 항목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신남방 국가의 학습자 변인과 한국어 교육
- 중급 한국어 학습자 발화의 조사 연속 구성 연구
- 세종학당의 한국어 초급 콘텐츠 재정비 및 활용 방안 연구
- 필리핀 중등학교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 한국어 입문 단계 교육 자모 제시 방법 연구
-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 현대몽골어와 한국어 양 언어 학습자를 위한 명령문 대조 연구
- 말뭉치를 활용한 ‘-으러’, ‘-으려고’의 사용 양상 분석 연구
- 한국어 교사의 쓰기 채점 방식이 쓰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