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법 교육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이용수 11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gni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bout Teaching Grammar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방성원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2권 2호, 187~21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gnitions that Korean language teachers have about teaching grammar, and to use the results to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grammar education research.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First,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y surveying teachers on the proportion of curricula taken up by grammar, the difficulty of teaching grammar, and the necessary tools for effective grammar lessons. For more in-depth analysis, open questions were presented concerning specific difficulties faced during grammar instruction, difficulties felt in the classroom, personal problem resolution methods, and suggestions for researchers of Korean grammar education. The results provided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e of Korean grammar instruc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There is a large amount of research already completed on Korean grammar education, but more research that is actively applicable to teaching grammar must be conducted. Effective results must be created through research on grammar system, syllabus, and the standardization of grammar terminology. Above all, the creation practical and pedagogical materials must be promoted in order to provide solutions to needs in actual educational environments.
목차
1. 머리말
2. 연구 방법
3. 조사 결과 분석
4. 문법 교육 연구의 방향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육 관련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의 방향 모색
- 한국어 어두파열음 삼중대립 지각학습 효과
- 한국어 학습자의 진급 여부 의사결정을 위한 준거점수 설정 방법 비교 연구
- 문법 교육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현황 및 대책
- 한국어 연결어미 ‘-길래’의 특성과 교수 방안 연구
- 음성학 기반의 한국어 모음 교육
- 상징을 통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 다차원 분석에 의한 한국어 논문 텍스트의 장르적 특성 연구
- 한국인·외국인 간 강의 듣기 전략의 사용 양상 비교
- 한국어 관계절 구조의 교수와 일반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읽기 텍스트 난이도 측정법 연구
- 표현 문형 ‘-은/는 것이다’의 담화 기능
- 한글학교 교사 교육의 방향 모색
- 이야기 표현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교육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