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진급 여부 의사결정을 위한 준거점수 설정 방법 비교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Establishing Passing Standards for Classroom Achievement Tests for Learners of Korean as Second Language: A Comparative Study of Three Method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하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2권 2호, 303~32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cut scores for classroom achievement tests at Korean language institutes using three well-established standard setting methods, and to investigate what factors may have an influence upon creating standards. In doing so, cut scores obtained by the extended Angoff's method, the Ebel's method and the contrasting groups method were compared with the exiting official cut scores based on experienced teachers' intuition at an university-affiliated language institute for learners of Korean as second language (KS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tended Angoff's and the Ebel's passing scores were lower than both the official and the contrasting groups' ones although the contrasting groups' passing scores produced similar results to the official ones. More intriguing is a significant change in cut scores and improvement in interrater reliability found when the judges were provided with normative information on learners' performance. The forementioned findings suggest that the intuition-driven cut score setting method, which has been prevailing in the Korean education field, might have to be reconsidered, and using well-established standard setting methods together could help faculty to make a more informed and valid decision on which should pass or fail in the setting of KSL classroom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also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및 논의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육 관련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의 방향 모색
- 한국어 어두파열음 삼중대립 지각학습 효과
- 한국어 학습자의 진급 여부 의사결정을 위한 준거점수 설정 방법 비교 연구
- 문법 교육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현황 및 대책
- 한국어 연결어미 ‘-길래’의 특성과 교수 방안 연구
- 음성학 기반의 한국어 모음 교육
- 상징을 통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 다차원 분석에 의한 한국어 논문 텍스트의 장르적 특성 연구
- 한국인·외국인 간 강의 듣기 전략의 사용 양상 비교
- 한국어 관계절 구조의 교수와 일반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읽기 텍스트 난이도 측정법 연구
- 표현 문형 ‘-은/는 것이다’의 담화 기능
- 한글학교 교사 교육의 방향 모색
- 이야기 표현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교육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