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읽기 텍스트 난이도 측정법 연구
이용수 25
- 영문명
- A Study of Text Difficulty Analysis on the Korean reading material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구민지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2권 2호, 27~4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following question; how can we recognize readily that this text is proper for a certain class as an educational material. It is required to prepare the criteria of identifying the eligible reading text for the student who has the different level and the differen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asy way to judge the text difficulty, which helps the teachers decide to bring this text to their classroom or no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analysis on the texts from the existing reading materials for the university KAP students and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about the vocabulary, the specific expressions and the length of the each sentences from the texts were performed. Also the survey of the 100-students and the 16-teachers about the difficulty of the 9 texts selected the above analysis and measuremen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the survey, the formula of the vocabulary and the expression is effective to find the text difficulty. It is found that the 25~30 vocabulary index and the 10~15 expression index are right for the university KAP students. Based on this result, it is possible to establish readability index system for each level.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텍스트 분석과 그 결과
4. 학습자 및 교사 반응 조사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육 관련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의 방향 모색
- 한국어 어두파열음 삼중대립 지각학습 효과
- 한국어 학습자의 진급 여부 의사결정을 위한 준거점수 설정 방법 비교 연구
- 문법 교육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현황 및 대책
- 한국어 연결어미 ‘-길래’의 특성과 교수 방안 연구
- 음성학 기반의 한국어 모음 교육
- 상징을 통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 다차원 분석에 의한 한국어 논문 텍스트의 장르적 특성 연구
- 한국인·외국인 간 강의 듣기 전략의 사용 양상 비교
- 한국어 관계절 구조의 교수와 일반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읽기 텍스트 난이도 측정법 연구
- 표현 문형 ‘-은/는 것이다’의 담화 기능
- 한글학교 교사 교육의 방향 모색
- 이야기 표현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교육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