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야기 표현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교육 방안
이용수 10
- 영문명
- Metho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rough Story Expressio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함욱 김주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2권 2호, 351~37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pose a metho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rough developing and reviewing the model of story expression teaching and learning. Subjects of the study are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taking bilingual education training courses organized by the Korea Institu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used is a qualitative case-study approach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s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s based primarily on the psychological method of narrative therapy. Bas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e stories of the women were analyzed - the results were ‘externalization’, ‘understanding’, and ‘reconstruction’ of self-ident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should focus on identity formation as well as language skills. Second, various disciplines should be considered and integrated in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Third, a variety of mediums beyond the oral and written languages should be used.
목차
1. 서론
2. 연구 참여자 및 방법
3. 이야기 표현 교수ㆍ학습 모형
4. 이야기 표현 프로그램 실행 과정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육 관련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의 방향 모색
- 한국어 어두파열음 삼중대립 지각학습 효과
- 한국어 학습자의 진급 여부 의사결정을 위한 준거점수 설정 방법 비교 연구
- 문법 교육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현황 및 대책
- 한국어 연결어미 ‘-길래’의 특성과 교수 방안 연구
- 음성학 기반의 한국어 모음 교육
- 상징을 통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 다차원 분석에 의한 한국어 논문 텍스트의 장르적 특성 연구
- 한국인·외국인 간 강의 듣기 전략의 사용 양상 비교
- 한국어 관계절 구조의 교수와 일반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읽기 텍스트 난이도 측정법 연구
- 표현 문형 ‘-은/는 것이다’의 담화 기능
- 한글학교 교사 교육의 방향 모색
- 이야기 표현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교육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