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ow to Nurtur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Elevate Their Statu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최주열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9권 1호, 1~39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4.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regarding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and the teachers by study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institutions, and the actual situation about the demand and supply of the teachers and their treatment. It also offers ways to raise the teachers’ position. Today, the Korean language institution of a university needs to be run systematically by working closely together with different departments concerning its name, curriculum, running system, and the management of part time lecturers. One way to elevate the status of the teachers in accordance with the Labor Standard Act is to have many of the professors who are in charge of the program only, and whose status is different from the administrations by making new rules. The solution to these questions can be possibly solved if the policy makers of the University a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the fundamental alternative to enhance the teachers’ status needs to be met in other factors outside of the university. To secure the teachers’ status that is stable and systematic, this study suggests three measures. First, the number of students learning Korean needs to be stable. Second, The expertise of Korean teachers needs to be secured. Third, the institutional system for making the job stable is needed.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조사 내용 및 방법
4. 설문지 조사 결과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NHK 한국어 강좌 교재의 발음표기에 대한 실태 분석
- 영화를 활용한 소설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스페인어권 화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의 현황과 과제
- 한국어 독학용 어휘학습 교재 개발 방안
- 중간언어 음운론을 위한 자음 연구
- 한국어 듣기 평가 텍스트의 진정성 연구
- 부정적 전이로 인한 중국어권 학습자의 오류 분석
- 한국어교사의 육성과 위상 제고 방안
- 말하기 숙달도 평가에 관한 논평
- On Korean Subject Case-marking Rules: Implication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 가치 중심 한국어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환경의 변화와 발전을 위한 과제
- 학습자 모국어를 활용한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의 모색
- 한국어교수법의 새 방향
-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교육의 현황과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