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욕설 사용의 심리적 기제 및 순화 방안
이용수 5,021
- 영문명
- A Study on Psychological Mechanisms of Adolescents’ Use of Abusive Language and Countermeasure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강희숙(Kang Hui-suk) 양명희(Yang Myung-h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79輯, 255~28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1.2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ditions of adolescents’ use of abusive language 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and based on the results, it presented measures to refine their langu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degree of using abusive language, activities where it is used and objects to which it is used and discovered that 94.6% of the subjects used abuses related with sex, physical and emotional defects targeting their friends(70.3%) when they played with them.
In respect to psychological mechanisms of using abusive languages, it was discovered that they used abuses habitually or followed others. It indicates that there are no specific motives to use common abuses. However, as psychological mechanisms of using habitual or common abuses, they used them to relieve stress, to increase friendship, and not to be disregarded, or because they are easy and communicative. In this context, as it was discovered that the right function of abuses worked rather than the reverse function, use of abuses was justified.
Finally, in considering that students showed doubtful attitudes toward school education on refinement of abuses and answered they have to try to speak less abuses, it is more desirable to present intentional education which induces their voluntary efforts to refine their language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students should check their own attitudes and recognition themselves.
목차
1. 머리말
2. 욕설 사용 실태 및 욕설 사용의 심리적 기제
3. 욕설 사용에 대한 순화 방안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의 의사소통 교육에서 표현 매체의 교육적 수용 효과에 관한 연구
- 〈앵로부(鶯鷺賦)〉의 작가 의식과 우언적 형상화
- 한국어교육을 위한 구어체 종결어미 ‘-잖아(요)’ 연구
- 중국 무순지역 한국어 단모음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생의 자국어 교육 프로그램 인식
- ‘듣다’(落)의 의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
- ‘아무’의 지시적 성격과 출현 형태 및 의미적 해석
- 불교전래 과정의 서사문학적 수용과 그 의미
- 옥소 권섭의 시조 〈16영〉에 나타난 현실인식태도
- 80년대 노동담론의 여성이미지 연구
- 오규원 시에 나타난 날이미지의 환유 체계 연구
- 문학 작품의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관음화현(觀音化現)의 상상력
- 작문사(作文史)적인 관점에서 본 근대 초기 작문 교재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 교육의 단계별 교육 내용 설정 연구
- 청소년의 욕설 사용의 심리적 기제 및 순화 방안
- 박인환 시의 장소와 심상지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