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ense Choice of Reporting Verbs in Korean Indirect Quot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Formal and Speaker-Related Factors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김미경(Mi-kyung Kim)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25輯, 5~3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과거 발화 간접인용문에서 인용동사의 시제 선택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제 선택은 발화의 유효성 판단이나 화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 시제 연구에서도 중요한 주제가 되어 왔다. 그러나 간접인용문은 일반 문장과 달리 전달 내용과 원화자의 존재라는 특수성을 지니므로, 시제 선택에 작용하는 요인이 더 다양하다. 원화자의 인칭이나 시간 부사의 사용과 같은 형식적 제약뿐 아니라, 원화자 명시 여부, ‘현재’ 범위의 설정, 화자의 유효성 판단, 생동감 부여와 같은 화자의 주관적 판단과 의도도 개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간접인용문은 동일한 과거 발화가 현재형과 과거형으로 모두 실현될 수 있는, 시제 연구의 중요한 관찰 지점을 제공한다. 우선, 국내 주요 대학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교재 8종을 분석한 결과, 간접인용 표현은 대부분 중급 단계 초반에 도입되며 피인용문이 평서문인 간접인용 표현이 가장 먼저 제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재 전반에서 인용동사의 시제 선택 요인이나 의미 차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공되지 않았다. 또한 간접인용 예문 제시에서도 인용동사의 특정 시제가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는 교재들이 있었다. 이로 인해 학습자는 교재만으로는 인용동사의 시제 사용 원리를 충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드러났다. 본고에서는 간접인용문에서 시제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형식적 제약과 화자의 판단·의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형식적 요인으로는 (1)원화자의 인칭, (2)과거 시간 부사의 명시 여부가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원화자가 1·2인칭일 경우에는 인용동사가 현재 시제로 쓰이는 것이 부자연스럽고 과거 시제로만 실현되며, 3인칭일 경우에는 현재·과거 시제 모두 가능하다. 또한 ‘아까, 방금, 1분 전에’와 같은 과거 시간 부사가 명시될 경우, 인용동사는 과거 시제로 실현되어야 한다. 한편, 화자의 판단과 의도 역시 시제 선택에 크게 작용한다. 원화자가 분명히 표명된 경우에는 보고 행위의 과거성이 부각되어 과거형이 자연스럽지만, 원화자가 생략되거나 출처보다 내용 전달에 초점이 맞추어진 경우에는 현재형이 선호된다. 또한 화자가 ‘현재’의 범위를 넓게 해석하면 근접 과거 발화도 현재형으로 인용될 수 있으며, 발화 내용이 인용 시점에도 유효하다고 보이면 과거 발화라도 현재형이 사용된다. 반대로 유효성이 상실되었거나 반복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과거형만 자연스럽다. 나아가 화자가 발화를 생생하게 전달하려는 전략에서 현재형을 선택하는, 이른바 ‘역사적 현재’ 용법도 나타나며, 이는 서사 담화에서 제3자의 발화를 인용할 때 특히 두드러졌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는 간접인용 도입 단계에서 인칭·시간 부사와 같은 형식적 기준을 중심으로 학습자가 즉시 적용할 수 있는 규칙을 제시하고, 중급 후반부터 고급 단계에서는 화자의 판단 및 의도에 따른 시제 선택과 그 의미 차이를 지도하는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단순한 규칙 암기를 넘어 실제 담화 맥락 속에서 적절한 시제를 선택하고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게 되며, 간접인용문 구사 능력을 보다 정교하게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ense choice of reporting verbs in Korean indirect speech that conveys past utterances and to present its pedagogical implications. Tense choice has long been an important topic in general tense studies, as it can vary depending on the speaker’s judgment of validity and perspective. However, indirect speech differs from ordinary sentences in that it involves both transmitted content and the presence of an original speaker, which introduces a wider range of factors influencing tense selection. In addition to formal constraints such as the original speaker’s person or the use of temporal adverbs, subjective judgments and intentions also come into play, including whether the original speaker is specified, the judgment of the scope of “present,” the speaker’s assessment of validity, and the use of tense to create vividness. Thus, indirect speech provides a crucial observation point for tense studies, since the same past utterance can be realized in both present and past forms. An analysis of eight Korean language textbooks widely used at major universities revealed that indirect speech is typically introduced at the lower-intermediate level, with declarative forms presented first. However, explanations regarding the factors influencing tense choice or the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tenses were absent, and some textbooks showed a striking predominance of one tense in example sentences. Consequently, learners may find it difficult to fully grasp the principles of tense choice in indirect speech based solely on textbook input. This study further examined the factors governing tense choice in indirect speech, dividing them into formal constraints and speaker's judgment. Among the formal factors, two variables proved crucial: (1)the person of the original speaker and (2)the presence of a past time adverbial. When the original speaker is first or second person, the reporting verb naturally takes the past tense, whereas with third-person speech both present and past are possible. In addition, when past time adverbials such as “a while ago,” “just now,” or “a minute ago” are explicitly stated, the reporting verb is most naturally realized in the past tense, although exceptions such as the historical present may occur in specific discourse contexts. At the same time, the speaker’s judgment and intent play a decisive role. When the original speaker is explicitly identified, the past tense is natural, highlighting the pastness of the reporting act. In contrast, when the speaker is omitted or the focus is on conveying the content rather than its source, the present tense is preferred. If the speaker interprets the scope of “present” broadly, even a recent past utterance can be reported in the present tense. Similarly, if the speaker judges that the reported content remains valid at the reporting time, the present tense may be chosen; conversely, if validity is lost or repetition is impossible, only the past tense is natural. Furthermore, speakers sometimes select the present tense strategically to add vividness—so-called “historical present”—a usage particularly prominent when reporting the utterances of third parties in narrative discours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a two-step pedagogical approach. At the introductory stage, instruction should focus on simple, formal criteria—such as the person of the original speaker and the presence of past time adverbials—so that learners can quickly apply basic rules. At lat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instruction should expand to include the role of speaker's judgment and intent, emphasizing semantic differences in tense choice. This staged approach enables learners not only to memorize rules but also to select appropriate tenses in actual discourse contexts and articulate the reasons for their choices, thereby fostering a more sophisticated command of indirect speech in Korean.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3. 한국어 교재 내 인용동사의 시제 분석
4. 과거 발화 간접인용문에서 인용동사의 시제 선택 요인
5. 논의 및 교육적 시사점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경(Mi-kyung Kim). (2025).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 5-35

MLA

김미경(Mi-kyung Kim).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2025): 5-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