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On Korean Subject Case-marking Rules: Implication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이용수 2
- 영문명
- 주격표지에 관한 소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제언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휴용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9권 1호,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어 구문 에서 나타나는 주격조사(는/은, 이/가)의 중복출현 현상(‘주격중출’)에 주목하고, 그것과 ‘pro-drop’(Chomsky 1981, Towell & Hawkins 1994) 의 특질 중 하나인 ‘주어생략’(Null Subject)과의 관련성에 대해 논의 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주격중출’(예, 철수는 영희 가 좋다.)은 한국어 모어화자의 말과 글에서 흔히 나타나지만, 한국 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은 그들의 모국어에 따라 이 문형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로 인 해 필자는 한국어(혹은 일본어)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주격중출’ 현 상을 외국인 학습자가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그것을 얼마나 잘 습득 할 수 있는가, 그리고 그것이 보편문법(Universal Grammar)과 어떤 관 련성을 갖고 있는가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주격중출’과 관련된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세 가지 범주 초점화(topicalization) 가설, 심리동사(psychological verb) 가설, 연관효과 (clustering effect)에 의한 [±주어생략] 가설 로 분류하여 각각의 설명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시도하고, 세 번째 가설의 대안으로서 ‘주 격중출’과 [+주어생략]의 연관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서 한국어의 ‘주격중출’에 대한 대조언어학 적 이해를 높이고, 아울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주격중출’의 효과 적 교수 및 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1. Introduction
2. On Subject and Case-marking
3. Three Hypotheses for Subject Case-marking
4. SLA studies vis-à-vis [±NS]
5. Conclusion and implicatio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NHK 한국어 강좌 교재의 발음표기에 대한 실태 분석
- 영화를 활용한 소설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스페인어권 화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의 현황과 과제
- 한국어 독학용 어휘학습 교재 개발 방안
- 중간언어 음운론을 위한 자음 연구
- 한국어 듣기 평가 텍스트의 진정성 연구
- 부정적 전이로 인한 중국어권 학습자의 오류 분석
- 한국어교사의 육성과 위상 제고 방안
- 말하기 숙달도 평가에 관한 논평
- On Korean Subject Case-marking Rules: Implication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 가치 중심 한국어 교육 연구
- 한국어교육 환경의 변화와 발전을 위한 과제
- 학습자 모국어를 활용한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의 모색
- 한국어교수법의 새 방향
-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교육의 현황과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