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단체관광객 유치 인센티브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f Incentive Systems for the Inducement of Group Tourists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류기환(Ki-Hwan Ryu)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8권 제1호, 591~61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울과 경기도에 편중되어 있는 외래 관광객의 유치를 위해 각 기초단체는 관광객 유치를 위한 자구책의 일환으로 단체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지원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2011년부터 기초지방자치단체의 단체관광객 유치 인센티브제도가 속속 선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체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지원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170개 기초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9개 항목 65개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센티브 지원제도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규제완화 등의 국제화 기반조성 둘째, 인센티브 지원제도 발전방안 셋째, 지자체와 중앙정부의 역할 등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인센티브 지원제도의 중요도 우선순위 결정 둘째, 지원제도의 성공요인 분석 셋째, 파급효과 분석 등이다. 본 논문은 단체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지원제도의 실시 전·후를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지방관광 활성화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적게나마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과 연관성이 있는 관광업체의 인센티브 지원제도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별도로 추진해 업체의 성과와 지차제의 파급효과를 대비시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센티브통계와 기초 자치단체의 관광을 총괄하는 자치단체관광공사의 설립에 대해서는 별도의 연구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Each basic local government introduces the incentive system to attract group tourists as a measure to attract foreign tourists concentrated in Seoul and Gyeonggi-do. Since 2011, basic local governments started introducing the incentive system to attract group tourist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public officials in 170 basic local governments which implement the incentive system to attract group tourists with 65 questions of 9 items in a questionnaire. As a result, problems of the incentive system are as follows: first,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internationalization, second, the development of the incentive system, and third, roles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central government. Measures to improve these problems are first, prioritizing importance of the incentive system, second, analyzing factors of the successful incentive system, and third, analyzing ripple effects. This study identifies what differences the incentive system to attract group tourists makes and presents measures for improve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build a foundation to activate tourism in local area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연구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tudy on Economic Effects of the Econom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 between China and Taiwan: A CGE Approach
- The Price-Rent Ratio in the U.S. Housing Market
- 한국 농촌마을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expectation formation: Japanese Monetary Policy since 1985
- A Comparative Analysis of Solow Residuals in Korean and China Manufacturing Industries
- 대덕연구개발특구내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도입한 기술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중부권역별(충청남도;충청북도;대전광역시) 제조업부문 생산성 수렴가설 검증 및 결정요인 분석
- 한국-EU FTA 발효에 따른 무역구조 비교 분석
- 실질이자율;실질실효환율 및 외환보유고 간의 시간가변 동학관계
- 사회적 신뢰와 큰 정부
- 중국의 FDI(Inward);자본과 경제성장간의 관계 및 영향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Industry;Occupational Structure and Occupational Prestige Rankings in Korea;China and Japan
- 공간모형을 통한 한국의 해외직접투자가 교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인도현대차의 핵심성공요인과 복잡계이론 적용에 관한 연구
- 중국 지역별 기업생산성변화와 결정요인분석
- 중국의 대대만 정책의 변화와 그 특징
- 중국 국유기업이 중국 지역의 성장 및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BDI(Baltic Dry Index)와 한국금융시장간의 상호 연관성 분석
- 한-중 FTA 체결이 한국의 대중국 교역에 미칠 영향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단체관광객 유치 인센티브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 관광목적지의 접근성 지수 개발 및 평가
- 한국의 금융역할 심화와 부채주도 성장 및 소득불평등
- 글로벌 패스트패션 브랜드 경험이 관계의 질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소비자들의 위조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세계화가 소득불평등도에 미친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