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간모형을 통한 한국의 해외직접투자가 교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f Korea’s Outward FDI on Trade in a Spatial Framework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이순철(Lee Soon Cheul)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8권 제1호, 331~35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2002년부터 2012년 기간 동안 130개 국가를 대상으로 한국의 해외직접투자가 수출;수입 및 교역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증분석모형에서는 공간효과 또는 제3국 효과로 인하여 해외직접투자가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 편의와 불일치 추정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본고에서는 공간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한국의 해외직접투자는 수출과 수입을 촉진시켜 교역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그 과정에서 공간효과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한국의 FDI는 교역에 보완적 역할을 한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보완적 관계에서 주변국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기업들이 최근에 해외직접투자를 통한 국제생산분업구조를 확대시키고 있는 추세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즉 한국기업들이 해외직접투자를 할 때 주변국 교역까지 고려하여 추진해야 한다. 따라서 본고는 한국기업들은 해외직접투자에서 수출과 수입의 공간적 효과를 고려한 국제생산네트워크를 형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해외직접투자와 교역간의 관계를 분석할 때;2개국 모형 분석보다는 3개국 모형 분석이 더 적절하다는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Korea’s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trade using panel data from 130 countries during 2002 to 2012. It explores the empirical performance of the gravity model when the inherent spatial effects are explicitly accounted for.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Korean FDI has positive effects on export;import and overall trade;and the magnitude of the estimated parameters of FDI changes considerably when the inherent spatial effects are explicitly taken into account. Thus;Korean FDI h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rade. The roles of the third countries in this relationship are very important. It implies that this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FDI and trade reflects increasing trend of global production network for Korean multinationals. Thus;this paper suggests that global production network with spatial effects is important for increasing trade volume from FDI. The finding also suggests that better results are derived from a 3-country model rather than a 2-country model for analyzing the effect of FDI on trade.
목차
Ⅰ. 서론
Ⅱ. 공간모형 및 자료
Ⅳ. 추정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tudy on Economic Effects of the Econom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 between China and Taiwan: A CGE Approach
- The Price-Rent Ratio in the U.S. Housing Market
- 한국 농촌마을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expectation formation: Japanese Monetary Policy since 1985
- A Comparative Analysis of Solow Residuals in Korean and China Manufacturing Industries
- 대덕연구개발특구내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도입한 기술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중부권역별(충청남도;충청북도;대전광역시) 제조업부문 생산성 수렴가설 검증 및 결정요인 분석
- 한국-EU FTA 발효에 따른 무역구조 비교 분석
- 실질이자율;실질실효환율 및 외환보유고 간의 시간가변 동학관계
- 사회적 신뢰와 큰 정부
- 중국의 FDI(Inward);자본과 경제성장간의 관계 및 영향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Industry;Occupational Structure and Occupational Prestige Rankings in Korea;China and Japan
- 공간모형을 통한 한국의 해외직접투자가 교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인도현대차의 핵심성공요인과 복잡계이론 적용에 관한 연구
- 중국 지역별 기업생산성변화와 결정요인분석
- 중국의 대대만 정책의 변화와 그 특징
- 중국 국유기업이 중국 지역의 성장 및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BDI(Baltic Dry Index)와 한국금융시장간의 상호 연관성 분석
- 한-중 FTA 체결이 한국의 대중국 교역에 미칠 영향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단체관광객 유치 인센티브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 관광목적지의 접근성 지수 개발 및 평가
- 한국의 금융역할 심화와 부채주도 성장 및 소득불평등
- 글로벌 패스트패션 브랜드 경험이 관계의 질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소비자들의 위조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세계화가 소득불평등도에 미친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