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광목적지의 접근성 지수 개발 및 평가
이용수 9
- 영문명
- Newly Development of Tourist Destination Accessibility Index(TDAI)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Assessment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유정섭(Jungsub Yu) 이재달(Jae-Dal Lee)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8권 제1호, 487~50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국내 주요 관광목적지를 중심으로 국내여행 관광객이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관광목적지의 접근성은 관광활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처럼 관광활동에 있어서 관광목적지의 접근성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 평가수단과 방법에 대한 국내외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목적지의 접근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평가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관광목적지 접근성 지수를 새롭게 정의하였다. 새로 정의한 관광목적지 접근성 지수는 기존에 연구되어 왔던 도로망 접근성을 평가하는 지수에 관광목적지의 매력 특성을 고려한 가중치를 도입하여 적용하였다. 이렇게 정의한 관광목적지 접근성 지수를 적용하여 국내 주요 관광목적지 11곳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두 곳은 비교적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있었고;나머지는 평균미만으로 평가되었다. 평균미만의 관광목적지는 도로망 개선보다는 오히려 관광 매력성 제고에 더욱 집중해야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관광목적지의 접근성을 객관적 평가가 가능한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관광목적지의 발전과 경쟁력 제고 및 관광개발계획의 수립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관광목적지로 관광객을 유인하게 하는 매력성 향상 및 물리적 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담당자나 의사 결정자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영문 초록
Today;domestic tourists visiting major tourist destinations nationwide are rapidly growing;and these phenomena continue to show travel trends all around the country. The accessibility of tourist destinations is the key role of tourism activities. Despite of its importance;there are but few researches on assessment metho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cording to these tourism trends;therefore;the researchers newly defined tourist destination accessibility index(TDAI) to present the assessment model for objectively measuring the accessibility of major tourist destinations. Accessibility index;the newly defined tourism destination;was applied by introducing the weighting value considered characteristics of tourists’ destination attractions to (Gamma) index having been assessed the existing road network accessibility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By applying newly developed tourist destination accessibility index;11 domestic major tourist destinations in nationwide were taken assessment in respective. The results showed that 2 destinations were competitive and had a relatively high competitiveness;and the rest were assessed to less than the averag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국내 주요 관광목적지의 접근성 평가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tudy on Economic Effects of the Econom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 between China and Taiwan: A CGE Approach
- The Price-Rent Ratio in the U.S. Housing Market
- 한국 농촌마을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expectation formation: Japanese Monetary Policy since 1985
- A Comparative Analysis of Solow Residuals in Korean and China Manufacturing Industries
- 대덕연구개발특구내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도입한 기술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중부권역별(충청남도;충청북도;대전광역시) 제조업부문 생산성 수렴가설 검증 및 결정요인 분석
- 한국-EU FTA 발효에 따른 무역구조 비교 분석
- 실질이자율;실질실효환율 및 외환보유고 간의 시간가변 동학관계
- 사회적 신뢰와 큰 정부
- 중국의 FDI(Inward);자본과 경제성장간의 관계 및 영향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Industry;Occupational Structure and Occupational Prestige Rankings in Korea;China and Japan
- 공간모형을 통한 한국의 해외직접투자가 교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인도현대차의 핵심성공요인과 복잡계이론 적용에 관한 연구
- 중국 지역별 기업생산성변화와 결정요인분석
- 중국의 대대만 정책의 변화와 그 특징
- 중국 국유기업이 중국 지역의 성장 및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BDI(Baltic Dry Index)와 한국금융시장간의 상호 연관성 분석
- 한-중 FTA 체결이 한국의 대중국 교역에 미칠 영향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단체관광객 유치 인센티브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 관광목적지의 접근성 지수 개발 및 평가
- 한국의 금융역할 심화와 부채주도 성장 및 소득불평등
- 글로벌 패스트패션 브랜드 경험이 관계의 질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소비자들의 위조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세계화가 소득불평등도에 미친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