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EU FTA 발효에 따른 무역구조 비교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an Impact of Korea-EU FTA on Trade Structure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예한나(Hanna Ye) 이재득(YI CHAEDEUG)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8권 제1호, 433~45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EU FTA 전후의 한국의 대EU 무역구조를 살펴보았다. 2010~2012년 동안의 SITC 한 단위 코드번호 5-7에 해당하는 하위 3단위 품목들을 분석대상으로 삼고;무역특화도;산업내무역지수;시장현시비교우위지수를 분석함과 동시에 이를 이용하여 한국-EU FTA 전후 무역구조를 비교하였다. 무역특화도 분석결과시 전체적으로 한국이 수입특화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단위 코드번호로 살펴보았을 때;SITC Code 5 ‘화학물 및 관련제품 부문’에서는 아주 높은 수입특화를 보이고 있으며;SITC Code 6-7 품목들에서는 수입․수출특화 품목이 혼재되어 나타났다. 산업내무역지수 분석 시 전체적으로는 산업내무역지수가 그다지 높지 않은 편이나 제품별로 보면 SITC Code 5에서 산업내무역지수가 낮은 제품들이 많았고;특히 SITC Code 7 ‘기계 및 운수장비 부문’ 내에서 높은 산업내무역지수를 가지는 품목이 가장 많았다. 시장현시비교우위지수를 볼 때;우리나라는 SITC Code 5 ’화학물 및 관련제품 부문’ 에서 비교열위를 가지고;나머지 SITC Code 6-7에 해당하는 부문에서 비교우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EU FTA 전후 무역구조 비교를 위해;이러한 지수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평균검정 분석 시 시장현시비교우위지수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2010년과 2012년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한국은 비교우위를 점차 잃어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igures out up-to-date Korea-EU trade structure versus the EU;by testing some indices such as TSI;IIT;and MRCA and comparing pre-post impact analysis of Korea-EU FTA statistically using SITC 3 digit Codes in recent years. In the TSI test;Korea showed import-specialized tendency in SITC Code 5-7 over all. In terms of one unit code;it appeared very high import-specialized items in SITC 5 and mixture of import-specialized and export-specialized products in SITC Code 6-7. As a result of the IIT test;its index was not very high through SITC Code 5-7. In detail;there were lots of products with low IIT index in SITC Code 5. Especially;there exist highest IIT indices in SITC Code 7;which is Korea’s leading export industry. According to analysis of MRCA;Korea had comparative disadvantage in SITC Code 5;whereas the rest items of SITC Code 6-7 were seemed to have the comparative advantages. Besides;it is shown that Korea has been losing its comparative advantage when we compare it in both 2010 and 2012 with pre-post impact analysis of Korea-EU FTA.

목차

Ⅰ. 서론
Ⅱ. 한국과 EU의 최근 무역구조 동향 및 기존연구
Ⅲ. 한국과 EU의 제품별 무역구조 분석
Ⅳ. 한국-EU FTA 전후의 무역구조 비교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예한나(Hanna Ye),이재득(YI,CHAEDEUG) . (2014).한국-EU FTA 발효에 따른 무역구조 비교 분석. 국제지역연구, 18 (1), 433-456

MLA

예한나(Hanna Ye),이재득(YI,CHAEDEUG) . "한국-EU FTA 발효에 따른 무역구조 비교 분석." 국제지역연구, 18.1(2014): 433-4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