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농촌마을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Rural Villages in Korea: focusing on the Jeonbuk province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가순호(SUNHO KA) 정안성(Jeong Ahn-Seong) 신동훈(Dong-Hun Shin)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8권 제1호, 533~55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의 농촌개발정책은 하향식 정부주도형에서 상향식 주민주도형으로 변화하고 있다. 새로운 정책을 잘 활용하고 있는 마을이 있는 반면;이 같은 농촌개발정책을 십분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마을도 부지기수다. 이 같은 현상은 마을별 역량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촌개발의 지원방식을 마을 역량에 따른 단계별 사업지원 형태로 전환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농촌마을 역량에 대한 선행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농촌을 대상으로 마을 역량에 기초한 마을유형 분류를 시도하고;마을유형별 특성 파악에 주안점을 두었으며;이를 통해 향후 효과적인 농촌마을발전계획 수립에 기여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설문조사를 통해 얻었으며;요인분석을 통해 51개의 설문문항으로부터 5가지 역량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5개 요인은 군집분석을 통해 4가지의 마을역량유형을 도출하는데 활용되었다. 도출된 마을역량유형은 다시 5가지 역량요인별 요인점수를 갖고 평가되었으며;이를 바탕으로 마을역량유형별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 rural-development policy is changing from government-led top-down type to residents-driven bottom-up type. Some kinds of villages make good use of new policy's advantage;while some others do not make good use of its advantage. This phenomenon is due to the capacity difference by villages. According to the capacity difference of villages;the government is gradually switching the rural development polices to step-by-step support projects. But there are lack of researches into the capabilities of rural villages. This study has performed the classification of rural villages of Korea by using the capability indicators of villages. And then we has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village types. The research results allow us to contribute towards the future development plan of village types. The data required for the study was obtained through surveys. Using factor analysis;five factors were derived from the survey questions regarding the capabilities of villages. According to cluster analysis results by using factor scores of villages;the object villages of study could be divided into four types. The characteristics of four types were assessed by factor scor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모형 및 조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가순호(SUNHO KA),정안성(Jeong Ahn-Seong),신동훈(Dong-Hun Shin) . (2014).한국 농촌마을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18 (1), 533-559

MLA

가순호(SUNHO KA),정안성(Jeong Ahn-Seong),신동훈(Dong-Hun Shin) . "한국 농촌마을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18.1(2014): 533-5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