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금융역할 심화와 부채주도 성장 및 소득불평등
이용수 0
- 영문명
- Financial Deepening;Debt-led Growth and Income Inequality in Korea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김의동(Kim Eui Dong)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8권 제1호, 355~38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금융역할 심화(이하 금융심화로 요약)가 지속되었던 외환위기 이후 기간에 한국경제에서도 주요 OECD 회원국에서 그랬던 것처럼 경제주체의 부채 급증으로 부채주도 성장이 확산되었는지;소득불균등과 양극화가 심화되었는지;또 이로 인한 저성장 기제가 지속되었는지를 살펴보려 한다. 더 나아가 그 특징이 무엇인지도 검토해 보려 한다. 외환위기 이후 금융연관비율과 금융심화지표의 증대 추세를 우선 살펴보고;이 기간과 소득불균등 심화;경제주체의 부채 증가;저성장 기조가 중첩되는지 여부를 주로 통계자료와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다루는 것이 본 연구의 중요한 목표이다. 금융심화 지표들과 소득통계 및 부채 관련 통계를 검토해 본 결과 외환위기 이후 한국 금융심화 기간과 소득불평등 심화;경제주체 부채 증대-특히 가계부채 증대;저성장 추세 등이 발생한 기간이 정확하게 겹쳐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축적체제가 금융부문의 역할 강화 및 부채주도형 금융심화 현상에 의해 유동성 주도의 경제성장 구조로 전환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금융심화와 부채주도 성장 및 소득불평등 간의 직접적인 인과관계 검증 방식이 아니라 정치경제학적 측면에서 통계 추세 및 문헌 자료를 통한 간접적 상관관계 추이를 살펴보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일정한 한계를 갖는다.
영문 초록
Some of scholars studying financialization have pointed out debt-led growth;income inequality and growth retardation in result of financialization itself. This study has started from question if there has;after foreign exchange crisis;has there been financial deepening in Korea and has its negative aspects actually been noticeable? The study also looks through the course of financial deepening in neo-liberal economy and following changes of accumulation system after foreign exchange crisis in Korea. On investigation of finance deepening indicators and statistics on income and debt;the period of Korean financial deepening after economic crisis precisely overlap with the time of income inequality;debt surge and low growth tendency. It eventually supports the contention that financialization itself is important factor raised income inequality;debt surge and growth retardation. Even so;the accumulation system in Korea after crisis(1997) is not seemed like switching into finance-led accumulation system. Because the status of finance sector is still far from that of world-class in profitability and transnatinal index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한국의 금융심화
Ⅲ. 한국의 금융심화와 소득불균등 추이
Ⅳ. 금융심화와 부채주도 성장 및 그 특징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tudy on Economic Effects of the Econom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 between China and Taiwan: A CGE Approach
- The Price-Rent Ratio in the U.S. Housing Market
- 한국 농촌마을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expectation formation: Japanese Monetary Policy since 1985
- A Comparative Analysis of Solow Residuals in Korean and China Manufacturing Industries
- 대덕연구개발특구내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도입한 기술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중부권역별(충청남도;충청북도;대전광역시) 제조업부문 생산성 수렴가설 검증 및 결정요인 분석
- 한국-EU FTA 발효에 따른 무역구조 비교 분석
- 실질이자율;실질실효환율 및 외환보유고 간의 시간가변 동학관계
- 사회적 신뢰와 큰 정부
- 중국의 FDI(Inward);자본과 경제성장간의 관계 및 영향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Industry;Occupational Structure and Occupational Prestige Rankings in Korea;China and Japan
- 공간모형을 통한 한국의 해외직접투자가 교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인도현대차의 핵심성공요인과 복잡계이론 적용에 관한 연구
- 중국 지역별 기업생산성변화와 결정요인분석
- 중국의 대대만 정책의 변화와 그 특징
- 중국 국유기업이 중국 지역의 성장 및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BDI(Baltic Dry Index)와 한국금융시장간의 상호 연관성 분석
- 한-중 FTA 체결이 한국의 대중국 교역에 미칠 영향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단체관광객 유치 인센티브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 관광목적지의 접근성 지수 개발 및 평가
- 한국의 금융역할 심화와 부채주도 성장 및 소득불평등
- 글로벌 패스트패션 브랜드 경험이 관계의 질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소비자들의 위조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세계화가 소득불평등도에 미친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