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정부의 디자인행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96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sign administr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focusing on the change of polich and role of tne Ministry of Economy, Trand and Industry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2(통권 23권), 345~35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디자인이 국가 브랜드의 핵심요소로 부상하면서 디자인에 대한 국가의 역할이 과거보다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정부의 디자인 행정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사례 연구의 일환으로 일본 정부의 디자인행정에 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해 디자인행정과 개념을 정리한 다음 일본 정부 디자인행정 체계 및 디자인 정책의 주무기관으로서 경제산업성의 디자인 정책과 역할 변화를 살펴본다.
디자인행정은 디자인에 대한 국가의 능덩족이고 적극적인 작용이다. 국가별로 차이를 보이는 디자인정책 유형으로 보면, 일본은 중앙집중형에서 혼합형을 거쳐 통합형으로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주도의 디자인행정은 산업화 추진과정에서 불가결했고, 그렇기 때문에 성과를 거둘수 있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디자인영역의 확대를 행정의 범위와 조직체계가 수용하지 못하고, 정책비전과 현실과의 괴리가 확대되는 등의 한계가 지적되고 있으며, 이는 곧 우리 디자인정책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As design emerges as a key element of national brands, the role of the state in design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in the past. This thesis examines the design administr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as part of a case study to find the deriction of the government's design administration. To this end, design administration and concepts are summarized, and then the design policy and role changes of the Ministry of Economy, Industry and Energy as the main body of the Japanese government's design administration system and design policy are examined.
Design administration is an active and active action of the state on desitn. In terms of design policy types that differ by country, Japan seems to be moving from a cetralized type to a mixed type to an integrated type. The government-led design administration was indispensable in the process of promoting industrialization, and therefore it is evaluated that it was able to achieve results. However, limitations have been pointed out, such as the scope of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al system failing to accommodate the expansion of the design domain, and the widening gap between the policy vision and reality, which is the task of our design policy.
목차
1. 서론
2. 디자인행정의 이론적 배경
3. 일본의 디자인행정 체계
4. 경제산업성의 역할 변화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학연계형 디자인프로젝트 수행사례 연구
- 영주댐 수변공간 유휴지 공공자원으로써 활용방안 연구
- 한스홀라인의 상업공간 작품에서 나타나는 오브제적 실내디자인 표현 연구
- 테마형 커뮤니티디자인을 통한 농촌 공동체 활성화 방향 고찰
- 아동 수면공간과 환경심리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NFT 기반 디지털 작품 인식 현황 연구
- 일본 정부의 디자인행정에 관한 연구
- 그린웨이 공간 이용자의 행태 분석 연구
- 자율주행 범죄 예방 안심귀가 로봇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감정 표현 HRI 디자인제안
- 견과류 제품 패키지 색채 요소가 건강 속성 및 흡인력에 미치는 영향
- 웹 사용 패턴 시각화 분석을 기반으로 한 사용성 평가 도구 개선에 관한 연구
- 시선추적 실험에 나타난 세대간 시지각 주의집중 특성
- 형상 문법(shape grammar) 규칙에 기반한 한화상석(漢畵像石) 테두리 장식 문양 활용 연구
- 생태축제를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연구
- 창업가 및 창업기업을 위한 브랜드 개념 모델에 관한 고찰
- 소비자가 SNS을 통한 플랫형 가구의 자아일치성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중국 전통 문양 분석 및 현대가구의 응용에 관한 연구
- 퍼니텍처를 통한 주거공간에서의 미니멀아트의 표현특성 구현 연구
- 마을커뮤니티공간 활성화 디자인 방안연구
- 이미지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딥러닝 기술 기반의 지능화 그래픽 디자인 방법 및 응용
- 공기청정기의 조형이미지에 나타난 감성 비교 분석
- 광고의 모호성 이미지의 시각화 속성에 관한 연구
- 인간화 미학에 기반한 컴퓨팅 미학에 관한 연구
- 모션그래픽 기반 프레임레이트와 모션블러의 시각적 인지 반응 연구
- 디자인 리서치에서 비판적 사고의 역할에 관한 비판적 고찰
- 반투명 표피를 사용한 건축에서 느끼는 미의식의 신경 미학적 연구
- 중국 선양 1905 창의 산업단지의 개조 후 적응성 평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