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형상 문법(shape grammar) 규칙에 기반한 한화상석(漢畵像石) 테두리 장식 문양 활용 연구
이용수 115
-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anwha Sangseok Border Decorative Patterns Based on the Rules of Shape Grammar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2(통권 23권), 333~34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화상석(漢畫像石)의 테두리 장식 문양은 보통 띠 모양의 형식으로 도상(圖像) 가장자리에 새겨져 있으며 그림 화면의 액자 틀과 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다. 테두리 장식 문양의 존재는 한화상석의 장식적 수요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한화상석의 주요 도안과 조화를 이루어 그림 화면에 예술성을 부여한다. 한화상석의 테두리 장식 문양은 자체적으로 지닌 독특한 표현방식을 통해 민족적 특징이 매우 뚜렷한 예술 요소를 형성하고 뛰어난 혁신과 사용가치를 구현한다. 본 연구는 한화상석 테두리 장식 문양의 응용을 연구 주제로 하여 테두리 장식 문양을 문양 유형별로 정리하고, 미학적 및 인문학적 관점에서 한화상석 테두리 장식 문양의 미학적 의의를 탐구한다. 이와 함께 테두리 장식 문양 요소를 추출하여 형상 문법(shape grammar) 체계와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문양을 창작하고 일용품 디자인에 응용한다.
형상 문법의 규칙을 활용하여 생성한 장식 문양은 한화상석 테두리 장식 문양의 예술 요소를 살리면서도 원래 장식 문양의 전형적인 틀에 지나치게 얽매이지 않는다. 본 연구는 형상 문법 체계와 한화상석 테두리 장식 문양의 결합을 통해 민족적 특색을 지닌 장식 문양과 현대디자인의 접점을 모색함으로써 장식 문양의 민족성과 재디자인 가능성을 더 효과적으로 구현한다.
영문 초록
The border decorative patterns of Hanwha Sangseok is usually engraved on the edge of the painting in the form of a band, and it can be said to be the same as the frame of the picture screen. The existence of the border decorative patterns meets the decorative demand of Hanwha Sangseok and at the same time harmonizes with the main designs of Hanwha Sangseok to give artistry to the picture screen. The decorative patterns of Hanwha Sangseok forms an art element with very distinct ethnic characteristics through its own unique expression method and implements excellent innovation and value in use. With the application of Hanwha Sangseok border decoration patterns as the research topic, this paper organizes border decoration patterns by pattern type and explores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Hanwha Sangseok border decoration patterns from an aesthetic and humanistic perspective. In addition, by extracting the elements of the border decoration pattern, a new pattern is created and applied to the design of daily necessities through combination with the shape grammar system.
The decorative pattern created using the rules of shape grammar is not too bound by the typical frame of the original decorative pattern while making use of the art elements of the Hanwha Sangseok border decorative pattern. This study more effectively implements the ethnicity and redesign potential of decorative patterns by seeking a contact point between decorative patterns with ethnic characteristics and modern design through the combination of shape grammar systems and Hanwha Sangseok border decorative pattern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한화상석 테두리 장식 문양 분석
4. 테두리 장식 문양의 활용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학연계형 디자인프로젝트 수행사례 연구
- 영주댐 수변공간 유휴지 공공자원으로써 활용방안 연구
- 한스홀라인의 상업공간 작품에서 나타나는 오브제적 실내디자인 표현 연구
- 테마형 커뮤니티디자인을 통한 농촌 공동체 활성화 방향 고찰
- 아동 수면공간과 환경심리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NFT 기반 디지털 작품 인식 현황 연구
- 일본 정부의 디자인행정에 관한 연구
- 그린웨이 공간 이용자의 행태 분석 연구
- 자율주행 범죄 예방 안심귀가 로봇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감정 표현 HRI 디자인제안
- 견과류 제품 패키지 색채 요소가 건강 속성 및 흡인력에 미치는 영향
- 웹 사용 패턴 시각화 분석을 기반으로 한 사용성 평가 도구 개선에 관한 연구
- 시선추적 실험에 나타난 세대간 시지각 주의집중 특성
- 형상 문법(shape grammar) 규칙에 기반한 한화상석(漢畵像石) 테두리 장식 문양 활용 연구
- 생태축제를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연구
- 창업가 및 창업기업을 위한 브랜드 개념 모델에 관한 고찰
- 소비자가 SNS을 통한 플랫형 가구의 자아일치성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중국 전통 문양 분석 및 현대가구의 응용에 관한 연구
- 퍼니텍처를 통한 주거공간에서의 미니멀아트의 표현특성 구현 연구
- 마을커뮤니티공간 활성화 디자인 방안연구
- 이미지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딥러닝 기술 기반의 지능화 그래픽 디자인 방법 및 응용
- 공기청정기의 조형이미지에 나타난 감성 비교 분석
- 광고의 모호성 이미지의 시각화 속성에 관한 연구
- 인간화 미학에 기반한 컴퓨팅 미학에 관한 연구
- 모션그래픽 기반 프레임레이트와 모션블러의 시각적 인지 반응 연구
- 디자인 리서치에서 비판적 사고의 역할에 관한 비판적 고찰
- 반투명 표피를 사용한 건축에서 느끼는 미의식의 신경 미학적 연구
- 중국 선양 1905 창의 산업단지의 개조 후 적응성 평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