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비자가 SNS을 통한 플랫형 가구의 자아일치성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168

영문명
A Study on the Consistency and Intention of Consumers to Buy Flat Furniture through Social Platform: centred on young renters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2(통권 23권), 143~155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전자상거래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보편화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를 공유하는 문화가 형성되었으며 청년층의 대부분이 이러한 SNS플랫폼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나 삶의 방식을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과 관련하여 이미지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 검색 기능은 보다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제품의 정보 및 그 효과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샤오홍슈(小红书), INSTAGRAM 등 SNS플랫폼이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에게 더 많은 편의와 신뢰를 준다. 한편, 소비자는 자신과 비슷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토대로 한 삶의 방식과 그와 비슷하거나 혹은 자신이 소유하고 싶은 가구 스타일을 추구하고 영감을 찾음으로써 삶에 새로운 감성과 활력을 부여한다. 현재 청년층은 주로 SNS를 통해 자신의 삶과 일상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플랫형 가구의 선택, 배치, 유형 등 보다 직관적으로 제품의 정보와 효과를 노출하고, 이는 전통적인 온라인쇼핑에 비해 신뢰성, 정보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연구는 SNS의 주요 사용집단인 청년 임차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가구 정보 공유에 있어서는 주로 플랫형 가구를 주요 공유 유형으로 설정하였다. 참여자(N=218)에 대해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218부를 청년 임차인 샘플로 선정하였다. SPSS 26.0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이해성, 신뢰성 및 정보성은 구매 의도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동시에 자아 일치성은 양의 조절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청년 입차인들의 플랫형 가구 수요를 반영하고 있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SNS 플랫형 가구 디자인 공유를 통해 소비자의 공감을 이끌어 소비자의 구매 의도를 높일 수 있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with the popularization of e-commerce and social networks, a culture of sharing content through the Internet has been established. At present, most young people show their ideas or lifestyle through social platforms. In view of this tendency, information search based on picture sharing can quickly and intuitively show the product information and effect. For example, xiaohongshu, INSTAGRAM and other social platforms bring consumers a more comfortable and trustworthy feeling through content and presentation in this form. In addition, consumers want to follow their lifestyle based on similar, aspirational images. Can bring consumers with their own style or I want to have the furniture inspiration, add a new romance and vitality. Today's young people share their lives through social platforms, including the selection, arrangement and type of flat furniture, to intuitively show the product information and effect. Compared with traditional online shopping, it will be greatly improved in terms of credibility and information. This study is mainly aimed at young renters, who are the main groups of social platforms, and flat furniture is the main type of furniture sharing. The convenience and use of renting house can not only meet my aesthetic needs but also meet the use needs. Participants (N=218) conducted an online survey and 218 samples were taken from young people who rented houses. Using SPSS26.0 for data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information, reliability and comprehens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intent, and that self-consistency can act as a positive adjustment. This study reflects the current demand for furniture for young people who rent their homes, not only through online shopping and offline shopping, but also through sharing of furniture design on SNS, which can arouse consumers' sympathy and purchase intention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소비자가 SNS을 통한 플랫형 가구의 자아일치성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7 (2), 143-155

MLA

. "소비자가 SNS을 통한 플랫형 가구의 자아일치성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7.2(2022): 143-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