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NFT 기반 디지털 작품 인식 현황 연구
이용수 712
- 영문명
- A Study on the Status of Digital Work Recognition Based on NFT: Focusing on text mining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2(통권 23권), 9~1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디자인·예술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과 예술이 결합된 융복합예술로 불리는 대체 불가 토큰 NFT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시대적 이슈을 통한 IT 기술의 비약적 수요와 암호화폐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 미술 시장의 트렌드 변화 등과 함께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NFT 기술 기반의 디지털 작품을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분석하고 대중의 인식을 도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 빅데이터 도구의 텍스톰을 이용하여 NFT가 가장 급속하게 성장했던 2021년 3월~2022년 2월까지 최근 1년을 수집 기간으로 설정하고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한다. 그 결과 첫째, 선행 연구에서 검토한 NFT 분야의 주요 쟁점 키워드인 작품, 판매, 메타버스, 미디어 등은 NFT 기술 기반 디지털 작품을 계획함에 있어 잠재적 수단의 단초를 제공하는 주요 키워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NFT의“코인”, “판매”, “게임”, “메타버스”, “작품” 키워드는 NFT 아트가 메타버스 형태로 제공되거나 이를 작품화하고, 게임이나 브랜드의 캐릭터 형태로 만들어지는 콘텐츠 제작 가능성의 가치로 여겨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블록체인 성격의 저작권과 관련된 가상전시의 지적재산권 보장, 디지털 작품의 아카이빙 측면의 접근성 확보 등 NFT 디지털 작품 창작자에게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새로운 플랫폼으로서 고려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단어 감성분석에서 소수의 비중이었지만 부정의 측면에서 NFT가 금전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는 것에 대한 불안함을 알 수 있었는데 투자 상품으로서 아트나 수익품은 시장가격이 거품이 있기에 조심성을 가지고 임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석 맵을 시작으로, NFT 기술 기반의 디지털 작품 구축 시 참고할 수 있는 현황 자료로서 보탬이 되고자 희망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NFT, an irreplaceable token called convergence art that combines digital technology and art, is attracting attention in the field of design and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FT technology-based digital works that are rapidly growing along with rapid demand for IT technology through issues of the times, the development of cryptocurrency blockchain technology, and the trend change in the art market through text mining. As a method of research, text mining is conducted by setting the last year as a collection period from March 2021 to February 2022, when NFT grew the most rapidly using TextStom of Big Data tools. As a resul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works, sales, metaverse, and media, which are major controversial keywords in the NFT field reviewed in previous studies, are the main keywords that provide the foundation of potential means in planning NFT technology-based digital works. Second, NFT's "coin", "sales", "game", "metaverse", and "work" keywords showed that NFT art was provided in the form of a metaverse, or was considered to be the value of content creation in the form of a game or brand character. Third, it can be seen that it is considered as a new platform closely related to NFT digital work creators, such as guarantee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virtual exhibitions related to copyrights in the nature of blockchain and securing accessibility to digital works. Fourth, although it was a small proportion in word sentime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NFT could cause financial losses in terms of negativity, and art or profits as investment products had a bubble in market prices, so it was necessary to be cautious. Starting with the analysis map proposed in this study, it is hoped to be helpful as current status data that can be referred to when constructing digital works based on NFT technolog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텍스트 마이닝 적용
4. 데이터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학연계형 디자인프로젝트 수행사례 연구
- 영주댐 수변공간 유휴지 공공자원으로써 활용방안 연구
- 한스홀라인의 상업공간 작품에서 나타나는 오브제적 실내디자인 표현 연구
- 테마형 커뮤니티디자인을 통한 농촌 공동체 활성화 방향 고찰
- 아동 수면공간과 환경심리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NFT 기반 디지털 작품 인식 현황 연구
- 일본 정부의 디자인행정에 관한 연구
- 그린웨이 공간 이용자의 행태 분석 연구
- 자율주행 범죄 예방 안심귀가 로봇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감정 표현 HRI 디자인제안
- 견과류 제품 패키지 색채 요소가 건강 속성 및 흡인력에 미치는 영향
- 웹 사용 패턴 시각화 분석을 기반으로 한 사용성 평가 도구 개선에 관한 연구
- 시선추적 실험에 나타난 세대간 시지각 주의집중 특성
- 형상 문법(shape grammar) 규칙에 기반한 한화상석(漢畵像石) 테두리 장식 문양 활용 연구
- 생태축제를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연구
- 창업가 및 창업기업을 위한 브랜드 개념 모델에 관한 고찰
- 소비자가 SNS을 통한 플랫형 가구의 자아일치성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중국 전통 문양 분석 및 현대가구의 응용에 관한 연구
- 퍼니텍처를 통한 주거공간에서의 미니멀아트의 표현특성 구현 연구
- 마을커뮤니티공간 활성화 디자인 방안연구
- 이미지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딥러닝 기술 기반의 지능화 그래픽 디자인 방법 및 응용
- 공기청정기의 조형이미지에 나타난 감성 비교 분석
- 광고의 모호성 이미지의 시각화 속성에 관한 연구
- 인간화 미학에 기반한 컴퓨팅 미학에 관한 연구
- 모션그래픽 기반 프레임레이트와 모션블러의 시각적 인지 반응 연구
- 디자인 리서치에서 비판적 사고의 역할에 관한 비판적 고찰
- 반투명 표피를 사용한 건축에서 느끼는 미의식의 신경 미학적 연구
- 중국 선양 1905 창의 산업단지의 개조 후 적응성 평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