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전통 문양 분석 및 현대가구의 응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148
- 영문명
-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ditional Chinese Patterns and the Application of Modern Furniture: Focusing on Plant Pattern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2(통권 23권), 272~285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통 문양 중 가장 전형적인 식물 문양을 세부 표현 요소로 하여 현대 가구의 장식 요소로 활용하였다. 전통 식물 문양의 예술 특징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식물 문양이 현대적 이미지로 반영된 가구 디자인 개발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고대 전통 문양의 예술 문화를 계승하고 그것을 참고로 하면 현대 가구 디자인에서 중국의 정신 및 전통문화 특징을 더 잘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현대 가구 디자인에서 전통 식물 문양의 특징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이론적 근거를 제공해 준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의 심미적 수요에 따른 문양 양식, 장식 부위, 문양 개수, 가공 기술 등 여러 방면의 조사와 분석을 통해 현대 가구 디자인 개발에 전통 식물 문양의 응용 방식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200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심미적 수요에 따른 문양 양식, 장식 부위, 문양 개수, 가공 기술 등은 전통 식물 문양은 트렌드에 맞고 올바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통 식물 문양을 활용한 현대 가구들이 직면한 문제점 및 현대 가구 디자인에서의 전통 식물 문양의 발전 방향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most typical plant pattern among traditional patterns was used as a decorative element of modern furniture as a detailed expression el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plant patterns in a modern sense and to develop furniture designs in which plant patterns are reflected in a modern image. If you inherit the art culture of ancient traditional patterns and refer to them, you will be able to better express the spirit and traditional cultural features of your home country in modern furniture design. This provides a rationale for making good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plant patterns in modern furniture design.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method of traditional plant patterns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furniture design was studied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various aspects such as pattern style, decorative parts, number of patterns, and processing technology according to the aesthetic demands of modern people.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targeting 200 participants. In terms of pattern style, decorative parts, number of patterns, and processing technology according to aesthetic demand, it was found that traditional plant patterns fit the trend and have a correct influence.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find out the problems faced by modern furniture using traditional plant patterns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raditional plant patterns in modern furniture desig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학연계형 디자인프로젝트 수행사례 연구
- 영주댐 수변공간 유휴지 공공자원으로써 활용방안 연구
- 한스홀라인의 상업공간 작품에서 나타나는 오브제적 실내디자인 표현 연구
- 테마형 커뮤니티디자인을 통한 농촌 공동체 활성화 방향 고찰
- 아동 수면공간과 환경심리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NFT 기반 디지털 작품 인식 현황 연구
- 일본 정부의 디자인행정에 관한 연구
- 그린웨이 공간 이용자의 행태 분석 연구
- 자율주행 범죄 예방 안심귀가 로봇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감정 표현 HRI 디자인제안
- 견과류 제품 패키지 색채 요소가 건강 속성 및 흡인력에 미치는 영향
- 웹 사용 패턴 시각화 분석을 기반으로 한 사용성 평가 도구 개선에 관한 연구
- 시선추적 실험에 나타난 세대간 시지각 주의집중 특성
- 형상 문법(shape grammar) 규칙에 기반한 한화상석(漢畵像石) 테두리 장식 문양 활용 연구
- 생태축제를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연구
- 창업가 및 창업기업을 위한 브랜드 개념 모델에 관한 고찰
- 소비자가 SNS을 통한 플랫형 가구의 자아일치성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중국 전통 문양 분석 및 현대가구의 응용에 관한 연구
- 퍼니텍처를 통한 주거공간에서의 미니멀아트의 표현특성 구현 연구
- 마을커뮤니티공간 활성화 디자인 방안연구
- 이미지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딥러닝 기술 기반의 지능화 그래픽 디자인 방법 및 응용
- 공기청정기의 조형이미지에 나타난 감성 비교 분석
- 광고의 모호성 이미지의 시각화 속성에 관한 연구
- 인간화 미학에 기반한 컴퓨팅 미학에 관한 연구
- 모션그래픽 기반 프레임레이트와 모션블러의 시각적 인지 반응 연구
- 디자인 리서치에서 비판적 사고의 역할에 관한 비판적 고찰
- 반투명 표피를 사용한 건축에서 느끼는 미의식의 신경 미학적 연구
- 중국 선양 1905 창의 산업단지의 개조 후 적응성 평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