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Visual Cognitive Response of Motion Graphic-Based Frame Rate and Motion Blur: Centering on vector graphic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2(통권 23권), 106~116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고속 프레임레이트 영상 제작이 가능해졌음에도 여러 제작 전문가들은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만들기 위하여 여전히 저속의 24프레임 영상을 고집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벡터 그래픽 기반 모션그래픽에서 프레임레이트와 모션블러의 단계별 적용을 통한 시각적 인지 반응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능에 해당하는 ‘편안함’과 ‘선명함’, 감성에 해당하는 ‘세련됨’, ‘고급감’, ‘생동감’ 부문을 중심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기능과 감성 부문 모두 고속 프레임레이트인 60프레임에서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모션블러에서는 60프레임일 때 감성에 해당하는 ‘세련됨’, ‘고급감’, ‘생동감’ 부문에서 높은 반응을 보였고 특히 ‘세련됨’ 부문에서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벡터 그래픽 기반 모션그래픽에서 프레임레이트와 모션블러가 높아질수록 시청자는 영상이 세련되었다고 느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영상 제작에 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며 향후 더욱 발전될 영상 제작 시장에 발맞추어 관련 연구가 끊임 없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visual cognitive response through the step-by-step application of frame rates and motion blur in motion graphics based on vector graphics. As a result of a study focusing on 'comfort' and 'clearness' corresponding to functions, 'sophisticated', 'high-end', and 'vibrant' corresponding to emotions, both functions and emotions showed the highest response at the high-speed frame rate of 60 frames. In Motionblur, the 60th frame showed high response in the 'sophisticated', 'high-end', and 'vibrant' categories, which correspond to sensibility, and especially the 'sophisticated' categor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모션그래픽 기반 프레임레이트와 모션블러의 단계별 적용에 따른 시각적 인지 반응 연구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학연계형 디자인프로젝트 수행사례 연구
- 아동 수면공간과 환경심리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형상 문법(shape grammar) 규칙에 기반한 한화상석(漢畵像石) 테두리 장식 문양 활용 연구
- 디자인 리서치에서 비판적 사고의 역할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이미지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영주댐 수변공간 유휴지 공공자원으로써 활용방안 연구
- 자율주행 범죄 예방 안심귀가 로봇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감정 표현 HRI 디자인제안
- 견과류 제품 패키지 색채 요소가 건강 속성 및 흡인력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가 SNS을 통한 플랫형 가구의 자아일치성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딥러닝 기술 기반의 지능화 그래픽 디자인 방법 및 응용
- 중국 전통 문양 분석 및 현대가구의 응용에 관한 연구
- 마을커뮤니티공간 활성화 디자인 방안연구
- 인간화 미학에 기반한 컴퓨팅 미학에 관한 연구
- 한스홀라인의 상업공간 작품에서 나타나는 오브제적 실내디자인 표현 연구
- 일본 정부의 디자인행정에 관한 연구
- 웹 사용 패턴 시각화 분석을 기반으로 한 사용성 평가 도구 개선에 관한 연구
- 모션그래픽 기반 프레임레이트와 모션블러의 시각적 인지 반응 연구
- 공기청정기의 조형이미지에 나타난 감성 비교 분석
- 퍼니텍처를 통한 주거공간에서의 미니멀아트의 표현특성 구현 연구
- 반투명 표피를 사용한 건축에서 느끼는 미의식의 신경 미학적 연구
- 광고의 모호성 이미지의 시각화 속성에 관한 연구
- 테마형 커뮤니티디자인을 통한 농촌 공동체 활성화 방향 고찰
- NFT 기반 디지털 작품 인식 현황 연구
- 그린웨이 공간 이용자의 행태 분석 연구
- 시선추적 실험에 나타난 세대간 시지각 주의집중 특성
- 생태축제를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연구
- 창업가 및 창업기업을 위한 브랜드 개념 모델에 관한 고찰
- 중국 선양 1905 창의 산업단지의 개조 후 적응성 평가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