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선양 1905 창의 산업단지의 개조 후 적응성 평가 연구
이용수 79
- 영문명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Adaptability after Reconstruction of 1905 Industrial Complexes in Shenyang, China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2(통권 23권), 256~271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급속한 도시 확장과 지속적인 산업 구조가 변화하면서 사람들의 환경보호 의식과 에너지절약 의식이 강해졌고, 다양한 패러다임의 옛 공장 건물 개조 프로젝트가 쏟아져 나왔다. 창의 산업단지는 옛 공장 건물 개조 프로젝트의 주요 방식 중 하나로, 옛 공장 건물의 잔존가치를 충분히 발휘하고 있지만 그만큼 경제·사회·환경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리모델링의 실질적 효과가 미흡하고, 옛 공장 건물의 개조에 따른 구체적 분석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옛 공장 건물 개조 프로젝트에 대한 적응성 평가가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옛 공장 건물 개조 후의 성능과 지표에 대한 평가를 통해 옛 공장 건물의 개조전략의 적용성과 정확성을 검토하고, 나아가 그에 따른 개선책을 제시하여 옛 공장 건물의 동태적 갱신을 실현한다.
국내외 옛 공장 건물 재활용 사업이 급증하고 있고, 개조 모델이 다양하지만, 개조 프로젝트 투입 후 효과에 대한 평가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오래된 공장 건물의 재활용은 장기적인 동적 개조 과정으로 제시하였다. 개조 프로젝트에 대한 사용 후 적성평가에 따라 선양 1905 창의 산업단지 개조 프로젝트의 경우 충분한 조사와 자료 연구를 바탕으로 적성 평가 지표를 만들었다. 분 논문은 선양 1905 창의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외부환경, 건축재생 효과, 문맥전승, 사회적 영향력, 경제적 효과의 다섯 가지 측면을 분석한다. 관련 이론 문헌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가설을 제시하며 설문 내용을 설계한다. 또한, spss25.0을 이용하여 참여자(N=200)의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데이터 분석한다. 연구결과는 실정에 부합하며, 재활용사업을 위해 사업재개조의 우선순위를 지속적으로 높여 자원의 적정한 배분을 도모하고 있다. 재활용 프로젝트 사용 후 적응성 피드백은 이러한 프로젝트를 동적 개조하기 위한 프로젝트 관리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emergence of multimodal old industrial buildings rejuvenation projects is caused by the rapid expansion of cities, continuous deepening of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increase in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nergy saving. Creative industrial park is one of the main models of old industrial building rejuvenation projects, although the remaining values of old industrial buildings is fully utilized,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se projects, leading to unsatisfactory results after rejuvenation, at the same time, feedback and analysis after renovation of old industrial buildings is lacking. Therefore, it is urgent to evaluate the adaptability of old industrial buildings after rejuvenation. Through evaluating the performance and indexes of old industrial buildings after rejuvenation,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and accuracy of the rejuvenation strategy of old industrial buildings and propose corresponding improvement measures to realize the dynamic renewal of old industrial buildings.
The number of rejuvenation projects of old industrial plants within China and abroad has increased dramatically and there are several known modes of rejuvenation, but there are little evaluations on the effects of these rejuvenation projects after they are put into use. This paper proposes that rejuvenation of old industrial district is a long-term dynamic process and using the rejuvenation project of Shenyang 1905 Creative Industrial Park as an example, the adaptability evaluation index is established based on research and data analysis of the user’s evaluation of the adaptability of the renovation project. This paper analysed the above rejuvenation project based on following five perspectives: 1) external environment, 2) architectural regeneration effect, 3) cultural heritage, 4) social influence and 5) economic benefits. Hypothesis and questionnaire were put forth based on reviewed literatures of the project. Participants (N=200) entered the designed online questionnaire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5.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consistent with the actual situation and shed light to the priority of the secondary transformation of the project for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project, so that the resources can be reasonably allocated. The post-use adaptability feedback of the rejuvenation project provides a new model of project management for the dynamic transformation of such projec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SEM-IPA 평가방법에 바탕으로 적응성 분석 연구
4. 데이터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학연계형 디자인프로젝트 수행사례 연구
- 영주댐 수변공간 유휴지 공공자원으로써 활용방안 연구
- 한스홀라인의 상업공간 작품에서 나타나는 오브제적 실내디자인 표현 연구
- 테마형 커뮤니티디자인을 통한 농촌 공동체 활성화 방향 고찰
- 아동 수면공간과 환경심리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NFT 기반 디지털 작품 인식 현황 연구
- 일본 정부의 디자인행정에 관한 연구
- 그린웨이 공간 이용자의 행태 분석 연구
- 자율주행 범죄 예방 안심귀가 로봇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감정 표현 HRI 디자인제안
- 견과류 제품 패키지 색채 요소가 건강 속성 및 흡인력에 미치는 영향
- 웹 사용 패턴 시각화 분석을 기반으로 한 사용성 평가 도구 개선에 관한 연구
- 시선추적 실험에 나타난 세대간 시지각 주의집중 특성
- 형상 문법(shape grammar) 규칙에 기반한 한화상석(漢畵像石) 테두리 장식 문양 활용 연구
- 생태축제를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연구
- 창업가 및 창업기업을 위한 브랜드 개념 모델에 관한 고찰
- 소비자가 SNS을 통한 플랫형 가구의 자아일치성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중국 전통 문양 분석 및 현대가구의 응용에 관한 연구
- 퍼니텍처를 통한 주거공간에서의 미니멀아트의 표현특성 구현 연구
- 마을커뮤니티공간 활성화 디자인 방안연구
- 이미지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딥러닝 기술 기반의 지능화 그래픽 디자인 방법 및 응용
- 공기청정기의 조형이미지에 나타난 감성 비교 분석
- 광고의 모호성 이미지의 시각화 속성에 관한 연구
- 인간화 미학에 기반한 컴퓨팅 미학에 관한 연구
- 모션그래픽 기반 프레임레이트와 모션블러의 시각적 인지 반응 연구
- 디자인 리서치에서 비판적 사고의 역할에 관한 비판적 고찰
- 반투명 표피를 사용한 건축에서 느끼는 미의식의 신경 미학적 연구
- 중국 선양 1905 창의 산업단지의 개조 후 적응성 평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