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태축제를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연구
이용수 149
- 영문명
- A Study on Program of Culture-Art Program for Eco Festival: Focused on Fall Culture Festival Sosijeon at Ansan Reef Wetland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2(통권 23권), 156~167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생태축제는 지역의 생태환경을 보존하면서, 유희적 활동을 통해 생태사회를 조성하기 위한 사회적 상호작용이다. 지역 축제가 증가하면서 지역의 생태자산을 활용한 생태축제가 증가하고 있으나, 생태축제의 프로그램은 획일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생태공간의 특성을 활용하여 생태축제를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기획과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질 오염 개선을 목적으로 조성된 안산갈대습지에서의 문화예술축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으며, 안산갈대습지와 유사한 생태공원을 대상으로 친환경 문화예술행사 사례를 분석하였다. 생태공원은 법정공원상 분류가 아닌 이유로 인해, 생태환경을 가지고 있는 곳의 지자체가 임의로 부여할 수 있어 생태공원의 문화예술행사는 지역 축제의 성격을 가진 곳이 많았다. 문화예술행사의 주요 콘텐츠는 방문자 층의 특성, 생태공간의 공간적 특성, 그리고 주관기관의 행사에 대한 주제 의식에 따라 결정되었다. 안산갈대습지의 가을 축제는 생태환경 훼손을 최소화한 공간 활용과 청각이라는 새로운 감각에 초점을 맞추고 문화예술기관의 협업과 지역 예술가를 참여시켰다. 생태성의 존중과 문화예술의 향유라는 핵심 가치를 지키기 위해 다음의 기본 방향이 견지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 생태환경의 고유한 차별성을 존중하는 문화예술행사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예술행사의 환경에 특화된 예술가와 전문가의 참여가 필요하다. 셋째 문화예술전문기관의 거버넌스 아래의 협업으로 생태와 문화예술간 이종혼합의 건강성을 유지해야 한다. 넷째 행사 운영에 있어 친환경적 세부 지침을 만들고 방문자들이 이를 준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Eco festival is social interaction for building eco society through entertainment activities and preservation of eco environment. Eco festival applying regional eco asset is incresead as regional festival is getting more, but the program of eco festival is getting more umiform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direction and plan of culture-art for eco festival using characteristics of space. Eco-friendly culture events at eco part similar to Ansan Reef Wetland are analyzed as case studies. Since eco park is not park categorization of part by law, many local government entitled ‘eco park’ indiscreetly, thus culture events at eco parks have character as local festival. Major contents are plane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main visitors group and eco-environment, and theme of event by supervised organization. Fall festival at Ansan Reef Wetland has basic direction for event: space usage to minimize harm eco-environment, focus on hearing as theme of festival, collaboration with culture-art organization, and participation of local artists. To preserve core value ‘ respect to eco-environment and enjoyment of art and culture’ for eco-environment, basic direction should be kept as below. First program of event should focus on unique differentiation of eco-environment. Second artists and experts specialized for eco-environment should be taken part in. Third healthy of hybrid between eco and culture-art with collaboration of organizations. Fourth eco-friendly visitors activities guideline should be made and be noticed to visitors.
목차
1. 서론
2. 생태축제의 이해
3. 생태공원의 생태축제
4. 안산갈대습지 가을문화축제 소리전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학연계형 디자인프로젝트 수행사례 연구
- 영주댐 수변공간 유휴지 공공자원으로써 활용방안 연구
- 한스홀라인의 상업공간 작품에서 나타나는 오브제적 실내디자인 표현 연구
- 테마형 커뮤니티디자인을 통한 농촌 공동체 활성화 방향 고찰
- 아동 수면공간과 환경심리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NFT 기반 디지털 작품 인식 현황 연구
- 일본 정부의 디자인행정에 관한 연구
- 그린웨이 공간 이용자의 행태 분석 연구
- 자율주행 범죄 예방 안심귀가 로봇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감정 표현 HRI 디자인제안
- 견과류 제품 패키지 색채 요소가 건강 속성 및 흡인력에 미치는 영향
- 웹 사용 패턴 시각화 분석을 기반으로 한 사용성 평가 도구 개선에 관한 연구
- 시선추적 실험에 나타난 세대간 시지각 주의집중 특성
- 형상 문법(shape grammar) 규칙에 기반한 한화상석(漢畵像石) 테두리 장식 문양 활용 연구
- 생태축제를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연구
- 창업가 및 창업기업을 위한 브랜드 개념 모델에 관한 고찰
- 소비자가 SNS을 통한 플랫형 가구의 자아일치성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중국 전통 문양 분석 및 현대가구의 응용에 관한 연구
- 퍼니텍처를 통한 주거공간에서의 미니멀아트의 표현특성 구현 연구
- 마을커뮤니티공간 활성화 디자인 방안연구
- 이미지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딥러닝 기술 기반의 지능화 그래픽 디자인 방법 및 응용
- 공기청정기의 조형이미지에 나타난 감성 비교 분석
- 광고의 모호성 이미지의 시각화 속성에 관한 연구
- 인간화 미학에 기반한 컴퓨팅 미학에 관한 연구
- 모션그래픽 기반 프레임레이트와 모션블러의 시각적 인지 반응 연구
- 디자인 리서치에서 비판적 사고의 역할에 관한 비판적 고찰
- 반투명 표피를 사용한 건축에서 느끼는 미의식의 신경 미학적 연구
- 중국 선양 1905 창의 산업단지의 개조 후 적응성 평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