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간화 미학에 기반한 컴퓨팅 미학에 관한 연구
이용수 103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mputational Aesthetics based on Humanized Aesthetics: Focusing on the architectural design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2(통권 23권), 228~245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과학과 예술을 연결하는 계산 미학은 기술을 예술 창조에 가져다주는 새로운 학제적 분야가 되고 있다. 첨단 CAD 기술과 인공 지능으로 인해 계산 미학은 건축 및 산업 디자인과 같은 많은 설계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Foster+Partners, Zaha Hadid, BIG 등의 유명한 디자인 회사는 창의력을 높이기 위한 경쟁력 있는 방법으로 이미 계산 및 파라메트릭 디자인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 새로운 미학은 표면적이거나 심지어 차가워진다는 주장도 있다. 일반 예술의 경우, 고급 디지털 아트로 인상적인 새로운 미적 힘을 드러낸다. 이 맥락에서 연구의 목적은 계산 미학을 미학과 비교하여 설계자가 이 새로운 접근법의 인식을 새롭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차별화와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의 방법으로 먼저 이전 연구와 문헌을 수집하고 미학과 계산 미학의 개념과 관계 및 평가 방법을 비교 분석한다. 둘째, 사례 연구를 통해 디자인 분야에서 이러한 두 가지 미적 접근법의 특징에 따라 관련 기사, 책 및 온라인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각 특징을 설명함으로써 세 가지 대표적인 사례를 선택하여 자세히 조사한다. 그런 다음 비교와 추가 분석 후 합리적인 미적 표현으로서의 계산 미학이 인간의 미적 경험과 디자인 사고 과정의 한계를 어떻게 증가시킬 수 있는지 설명한다. 이 논문의 최종 결과는 감정적인 마음에 의해 지배되는 미학은 하향식 사고 과정에 속하며 논리적인 마음에 의해 지배되는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기초 때문에 계산상 미학은 상향식 사고 과정에 속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 기초한 연구결과는 설계자가 이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지침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computational aesthetics, which connects science and art, is becoming a new interdisciplinary field that brings technology into art creating. With advanced CAD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mputational aesthetics has been widely used in many design fields such as architecture and industry design. Famous design companies such as Foster+Partners, Zaha Hadid and BIG have already adopted computational and parametric design method as a competitive way to enhance creativity. But there are still some argues that this new aesthetics is superficial or even cold. In terms of generative art, as an advanced digital art, reveals a new aesthetic power, which is impressive.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e study aims at comparing computational aesthetics with aesthetics to reveal their differentiation and correlation that benefit for designer to fresh the cognition of this new approach vice versa. As methods of this research, firstly previous researches and literature are collect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on the concept and relationships of aesthetics and computational aesthetics, as well as the assessment method. Secondly, through case studies, under the characters of these two aesthetic approaches in design field, three representative cases are selected to be deeply investigat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relevant articles, books and online materials to explain the respective features. Then, after comparison and further analysis, explaining how computational aesthetics as a rational aesthetic expression can augment the limit of human aesthetic experience and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e final results of this paper point that aesthetics dominated by emotional mind belongs to a top-down thinking process, while computational aesthetics because of its algorithmic generated basis, which dominated by logic mind, it belongs to a bottom-up thinking process.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based on this research can provide certain guidance for designers to make good use of them.
목차
1. Introduction
2. Humanized Aesthetics
3. Computational Aesthetics
4. Comparison between Humanized Aesthetics and Compuational Aesthetics
5. Case Studies
6. Top-down & Bottom-up Processing
7. Conclusion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학연계형 디자인프로젝트 수행사례 연구
- 영주댐 수변공간 유휴지 공공자원으로써 활용방안 연구
- 한스홀라인의 상업공간 작품에서 나타나는 오브제적 실내디자인 표현 연구
- 테마형 커뮤니티디자인을 통한 농촌 공동체 활성화 방향 고찰
- 아동 수면공간과 환경심리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NFT 기반 디지털 작품 인식 현황 연구
- 일본 정부의 디자인행정에 관한 연구
- 그린웨이 공간 이용자의 행태 분석 연구
- 자율주행 범죄 예방 안심귀가 로봇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감정 표현 HRI 디자인제안
- 견과류 제품 패키지 색채 요소가 건강 속성 및 흡인력에 미치는 영향
- 웹 사용 패턴 시각화 분석을 기반으로 한 사용성 평가 도구 개선에 관한 연구
- 시선추적 실험에 나타난 세대간 시지각 주의집중 특성
- 형상 문법(shape grammar) 규칙에 기반한 한화상석(漢畵像石) 테두리 장식 문양 활용 연구
- 생태축제를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연구
- 창업가 및 창업기업을 위한 브랜드 개념 모델에 관한 고찰
- 소비자가 SNS을 통한 플랫형 가구의 자아일치성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중국 전통 문양 분석 및 현대가구의 응용에 관한 연구
- 퍼니텍처를 통한 주거공간에서의 미니멀아트의 표현특성 구현 연구
- 마을커뮤니티공간 활성화 디자인 방안연구
- 이미지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딥러닝 기술 기반의 지능화 그래픽 디자인 방법 및 응용
- 공기청정기의 조형이미지에 나타난 감성 비교 분석
- 광고의 모호성 이미지의 시각화 속성에 관한 연구
- 인간화 미학에 기반한 컴퓨팅 미학에 관한 연구
- 모션그래픽 기반 프레임레이트와 모션블러의 시각적 인지 반응 연구
- 디자인 리서치에서 비판적 사고의 역할에 관한 비판적 고찰
- 반투명 표피를 사용한 건축에서 느끼는 미의식의 신경 미학적 연구
- 중국 선양 1905 창의 산업단지의 개조 후 적응성 평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