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을커뮤니티공간 활성화 디자인 방안연구

이용수  202

영문명
A study on design plan for Activation of village community space: focusing on village Sarangchae, Dong-gu, Gwang-ju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2(통권 23권), 96~105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생활권 내 커뮤니티의 가치가 주목받는 시대가 도래 하였고, 우리나라에서도 지역 중심의 이웃 간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있으며, 다양한 사회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에 필요로 하는 지역맞춤형 마을커뮤니티공간을 만들어가고 있다. 마을커뮤니티공간은 지역에 맞게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마을공동체 활동의 기반이 되고 있으며, 마을의 공동체를 강화하는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사회적 흐름에 따라 지역커뮤니티 활성화하기 위해 마을커뮤니티공간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 문헌자료를 통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으로 진행되었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지역커뮤니티 활성화 공간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활성화 요소를 기준으로 사례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현황 및 공간적 특성을 도출한다. 결과로 이제까지의 개념과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지역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마을커뮤니티공간이 앞으로 추구해야할 방향성과 적용 가능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time has come when the value of the community within the living area is attracting attention, and local-centered interactions are taking place in Korea as well. In order to solve various social problems, we are creating a community space tailored to the local area. The village community space is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according to the region, serving as a basis for village community activities and serving as a focal point for strengthening the village community. In this study, in order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according to this social flow, a plan for revitalizing the village community space was studied.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ase analysi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data, and elements of local community activation were derived through prior studies. Based on the derived activation factors, case analysis is conducted, and the current statu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re derived based on this. As a result, based on the concept and case analysis so far, we propose the direction and applicability of the village community space for revitalizing the local community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사례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마을커뮤니티공간 활성화 디자인 방안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7 (2), 96-105

MLA

. "마을커뮤니티공간 활성화 디자인 방안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7.2(2022): 96-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