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 수면공간과 환경심리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이용수 216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leeping Space and Environmental Psychology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2(통권 23권), 181~19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아동의 수면 시간 감소에 따른 수면부족 현상이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과거부터 수면에 대한 환경적 요인을 해결을 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수면 문제 중 수면공간에 대한 요인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요인별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대상은 국내 7~12세 아동의 독립 수면 공간으로 침대의 높이, 조명의 색상, 벽면의 색상, 수면 광원, 공간의 면적, 수면 유도 방식을 변수로 K-CSHQ 설문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평가의 변수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수면 저항감이 수면에 가장 높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음으로는 수면불안 요인에서 블루라이트를 발생시키는 영상매체가 관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세분화된 연구의 유형별 결과를 통해서 수면 공간 항목과 수면 문제에 대한 환경심리적 요인과의 상관관계 연구 결과를 통해서 수면공간의 디자인에 있어서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지침으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Nowadays, the reduction of the sleeping time among children that caused sleep deprivation has become a social problem. Meanwhile there are ongoing research regarding the factors of the sleeping environment.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the children’s sleeping problems with the sleeping space, so as to explore the design directions of respective factors. The object of the research is the independent sleeping space of Korean children aged 7-12. Using the height of the bed, the color of the lights, the color of the walls, the light source, the space area and the sleep-inducing method as the variables; and the K-CSHQ scale for analysi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valuation variables, it can be first confirmed that sleep resistance h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sleep. Second,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higher correlation between the blue-light images’ media and the sleep anxiety. It is hoped that by researching different kinds of subdivisions, guidance can be made on the correlation of sleeping space with environmental psychological factors that caused sleep deprivation and set the design specification directions on the sleeping space accordingl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및 조사
4. 연구의 분석 및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학연계형 디자인프로젝트 수행사례 연구
- 영주댐 수변공간 유휴지 공공자원으로써 활용방안 연구
- 한스홀라인의 상업공간 작품에서 나타나는 오브제적 실내디자인 표현 연구
- 테마형 커뮤니티디자인을 통한 농촌 공동체 활성화 방향 고찰
- 아동 수면공간과 환경심리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NFT 기반 디지털 작품 인식 현황 연구
- 일본 정부의 디자인행정에 관한 연구
- 그린웨이 공간 이용자의 행태 분석 연구
- 자율주행 범죄 예방 안심귀가 로봇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감정 표현 HRI 디자인제안
- 견과류 제품 패키지 색채 요소가 건강 속성 및 흡인력에 미치는 영향
- 웹 사용 패턴 시각화 분석을 기반으로 한 사용성 평가 도구 개선에 관한 연구
- 시선추적 실험에 나타난 세대간 시지각 주의집중 특성
- 형상 문법(shape grammar) 규칙에 기반한 한화상석(漢畵像石) 테두리 장식 문양 활용 연구
- 생태축제를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연구
- 창업가 및 창업기업을 위한 브랜드 개념 모델에 관한 고찰
- 소비자가 SNS을 통한 플랫형 가구의 자아일치성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중국 전통 문양 분석 및 현대가구의 응용에 관한 연구
- 퍼니텍처를 통한 주거공간에서의 미니멀아트의 표현특성 구현 연구
- 마을커뮤니티공간 활성화 디자인 방안연구
- 이미지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딥러닝 기술 기반의 지능화 그래픽 디자인 방법 및 응용
- 공기청정기의 조형이미지에 나타난 감성 비교 분석
- 광고의 모호성 이미지의 시각화 속성에 관한 연구
- 인간화 미학에 기반한 컴퓨팅 미학에 관한 연구
- 모션그래픽 기반 프레임레이트와 모션블러의 시각적 인지 반응 연구
- 디자인 리서치에서 비판적 사고의 역할에 관한 비판적 고찰
- 반투명 표피를 사용한 건축에서 느끼는 미의식의 신경 미학적 연구
- 중국 선양 1905 창의 산업단지의 개조 후 적응성 평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