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감각운동 심리치료 기반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 : 불안정애착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와 자기자비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 Sensorimotor Psychotherapy-Based Group Program: Focusing 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Self-Compass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Insecure Attachment
- 발행기관
- 한국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고민지 이승호 유나현
- 간행물 정보
- 『한국심리치료학회지』제17권 제2호, 1~2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15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감각운동 심리치료 기반 집단프로그램이 불안정 애착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와 자기자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중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호소하며 불안정 애착 점수가 높은 대상자들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최종적으로 실험집단에는 5명, 통제집단에는 8명이 참여하였다. 효과 검증을 위해 프로그램 개입 전에는 사전 검사를, 종료 후에는 사후 검사를, 개입 6주 후에는 추후 검사를 실시하여 시기별 효과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양적 자료 분석은 SPSS 29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통해 측정 시기에 따른 집단 간 차이와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실험집단 참여자의 주관적 경험을 질적 자료로 분석하여 양적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감각운동 심리치료 기반 집단프로그램의 개입은 대인관계문제와 자기자비 수준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대인관계문제와 대인관계 마음챙김은 측정 시기별 집단간 상호작용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단순 주효과의 사후시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자기자비는 측정 시기별 집단간 상호작용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질적 분석 결과, 참여자들의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6주간의 상담성과를 측정하였고, 특히 5주 차부터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프로그램이 대인관계문제와 자기자비 증진에 효과적임을 시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감각운동 심리치료 기반 집단프로그램 개입의 효과를 위한 프로그램 재구성, 양적 분석, 질적 분석 결과에 대한 종합적인 논의를 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sensory-motor psychotherapy-based group program in addressing interpersonal problems and enhancing self-compassion among adults with insecure attachment. To this end, university students who reported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xhibited high levels of insecure attachment were selected and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or a control group. Ultimately, 5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 in the control group. To assess the effects, pre-tests were conducted prior to the intervention, post-tests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and follow-up tests six weeks later to examine changes over time. Quantitativ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9, with repeated measures ANOVA applied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and interaction effects across time points. In addition,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group’s subjective experiences was conducted to supplement the quantitative finding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ensory-motor psychotherapy-based group program brought positive changes in both interpersonal problems and self-compassion. In terms of interpersonal problems and interpersonal mindfulnes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over time, with a notable effect observed at the post-test stage. Self compassion also showed significant group and time interaction effect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ing greater improvements than the control group. The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reduced anxiety and tension in interpersonal interactions, along with increased self-understanding and acceptance. Notably, meaningful changes were reported starting from the fifth week, suggesting that the program effectively contributed to alleviating interpersonal problems and enhancing self-compa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program restructuring strategi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sensory-motor psychotherapy-based group program. The results from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integrated, and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