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ciprocal Practice and Probability of Cyber Professional Community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김하준(Hajun Kim)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6권 제1호, 561~598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사이버 공간 내 행위자들의 호혜적 실천을 살펴봄으로써, 그 공간에 형성된 직업공동체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큐레이터 세상’이라는 학예사 관련 인터넷 카페에서 활동하면서, 게시글과 댓글들을 분석하였다. 즉, 이 글은 일종의 ‘사이버 문화기술지’라 볼 수 있다. 이러한 게시글과 댓글들은 사이버 공간에서 개인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동시에 타자와의 관계 형성을 의미한다. 여기에 존재하는 ‘호혜의 논리’는 이 사이버 공간을 사이버 공동체로 만든다. ‘비물질노동’의 개념은 이곳에서 발생하는 호혜적 실천을 재정의하여 그러한 활동을 노동의 범주에 포함시키고, 사이버 공동체를 ‘사이버 직업공동체’라 정의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이 공동체의 행위자들은 다른 익명의 행위자들에게 게시글이나 댓글의 형태로 ‘정보’나 ‘전략’을 요구하거나 수취한다. 이러한 선물은, 회원들이 ‘학예사’가 되어가는 여러 단계를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을 제공한다. 또한, 현직 학예사들은 자신들의 몸이 겪은 경험을 사이버 공간에서 공유하며, 학예사란 ‘직업’의 불안정한 상황을 헤쳐나가기 위한 여론과 규범을 조장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양한 측면을 고찰함으로써 이 사이버 직업공동체가 가진 ‘지옥 정치’와 ‘낙원 정치’의 두 가능성을 드러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professional community formed in the cyberspace by observing the reciprocal practice of actors. The researcher analyzed postings and comments online while actually working in cyberspace. In other words, this article can be seen as a ‘cyber ethnography’. These posts and comments represent individual identity in cyberspace, while at the same time become a channel to create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logic of reciprocity’ that exists in the cyber space makes it a cyber community. The concept of “immaterial” redefines the reciprocal practices that arise here, includes them in the category of labor, and provides a basis for defining cyber community as “cyber professional community.” The community’s actors provide other anonymous actors with information or strategies at no cost in the form of postings or comments. Discussions among members further reinforce these gifts. These gifts greatly help members overcome the different stages of becoming ‘curator’. In addition, senior curators share their experiences in cyberspace, and they promote public opinion and norms to live with the unstable career as a curator. By looking at these various aspects, this study reveals the two possibilities of ‘inferno politics’ and ‘politics of paradise’ in this cyber-professional community.
목차
I. 들어가며
II. 사이버 직업공동체의 이론적 배경
III. ‘큐레이터 세상’의 호혜적 실천
IV.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수험생 삶과 대학선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초등교사의 창의적 수업 경험 탐색
- 포항지진 피해자들의 갈등과 공동체성 회복에 관한 연구
- 독거노인 생활관리사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워킹맘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본 박물관 교육 참가자들의 의미 유형 연구
-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요양원에 입소한 노모의 생활세계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상담학 이론에 기반한 자문화기술지의 개념적 특질 탐색
- 담화/담론연구의 이론적 토대 탐색
- Qualitative research on language education and teaching: trends and opportunities, with an illustrative analysis of two Australian examples
- 내러티브 면담에 관한 방법론적 탐구
- 발도르프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유놀이 지원과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 특수학교 전공과 교과운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사이버 직업공동체의 호혜적 실천과 가능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원교육 제41권 제5호 목차
-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을 중심으로
- 학교공간혁신 참여설계 과정에서 교사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역량 - FGI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