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내러티브 면담에 관한 방법론적 탐구

이용수  1,464

영문명
A Methodological Inquiry on Narrative Interview: Understanding of practice and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질적탐구학회
저자명
조재성(Jaeseong Jo)
간행물 정보
『질적탐구』제6권 제1호, 41~6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질적연구에서 심층면담이 지닌 방법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면담 기법이 등장하고 있다. 그 중에서 내러티브 면담은 연구 참여자들이 직접 생성한 실제/가상의 이야기를 분석하여 의미를 찾는 연구방법으로 최근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면담의 개념, 실천 과정, 그리고 자료 분석의 방법을 중심으로 그 특징을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내러티브 면담은 개방적, 경험적, 해석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구체화된 코드와 질문지 대신 면담 내용 속에 숨겨진 의미들을 찾아내고 해석하려고 한다. 둘째, 내러티브 면담의 실제적인 활용 측면에서는 방사형 질문 과정, 비유적인 질문과 응답, 문학적, 예술적 형식의 창의적인 면담 기법 사용 등을 특징으로 제시할 수 있다. 연구 주제의 특성에 따라 내러티브 면담이 더욱 적절한 경우를 찾을 수 있다. 셋째, 내러티브 면담의 순서는 내러티브 윤곽 잡기, 완전한 내러티브 수집, 내러티브 규명의 3가지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는 유기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내러티브 면담의 활용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참여자의 생활 세계를 규명하고 질적연구의 효과를 더욱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가 질적연구에 접근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이해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qualitative research, various interview techniques are adopted to overcome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s of in-depth interviews. Among them, narrative interview has recently gained attention as a research method to unveil meanings by analyzing actual or virtual stories created by research participants themselves.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discussed its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concept, practice process, and data analysis of narrative Interview as follows: First, narrative interview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interview techniques when it comes to the definition of terms, approaches of experience, and the purposes of interviews. It aims to discover and interpret hidden meanings in the interview, instead of materialized codes and questionnaires. Second, as for the actual utilization of narrative interview, it adopts radical interview process, metaphorical questions and answers, and creative interview techniques in literary and artistic way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theme, narrative interview can be a more appropriate option in some cases. Third, the order of narrative interview consists of 3 steps; outlining the narrative, collecting complete narratives, and investigating the narratives, and each step should be connected organically. The utilization of narrative interview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educational research by understanding the life of students and teachers and increasing the effect of qualitative research. It is also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for education researchers who want to adopt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to expand understanding.

목차

I. 서론
II. 내러티브 면담의 이론적 토대로서 내러티브의 이해
III. 연구방법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재성(Jaeseong Jo). (2020).내러티브 면담에 관한 방법론적 탐구. 질적탐구, 6 (1), 41-69

MLA

조재성(Jaeseong Jo). "내러티브 면담에 관한 방법론적 탐구." 질적탐구, 6.1(2020): 41-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