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도르프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유놀이 지원과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이용수  998

영문명
Teacher’s Perception of Free Play Support and Effect in Waldorfkindergarten
발행기관
한국질적탐구학회
저자명
서은총(Eunchong Seo) 윤선영(Sunyoung Yoon) 오윤정(Yoonjung Oh)
간행물 정보
『질적탐구』제6권 제1호, 395~42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중심·놀이중심’으로 자유놀이를 지원하는 방법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2019년 5월부터 8월까지 한국과 독일의 발도르프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와 현장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발도르프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는 자유놀이의 의미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자유놀이를 어떻게 지원하고 있는지, 그리고 자유놀이 지원효과를 무엇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방법 분석절차에 따라 총 11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교사는 자유놀이를 종합선물세트, 존재의 의미, 모험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자유놀이 지원방법에서, 교사는 무엇이든, 무엇으로든 가능한 놀이환경, 놀이를 열어주는 관계형성, 최소한의 개입, 넓은 마음, 들숨-날숨의 리듬이 있는 여유로운 생활을 제공하고 다양한 모습의 지원군, 모범적인 생활작업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교사는 자유놀이의 효과를 진짜 자유로운 어린이, 중심을 잡아가는 자유로운 교사가 되는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supporting free play in ‘children-oriented and play-oriented ways. Seven teachers who worked at the Waldor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and Germany participated for interview and field observation from May to August 2019. The question of research is how teachers in the Waldor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perceive the meaning of free play, how they support free play, and what the effects of free play support are they perceived? A total of 11 topics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procedur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teachers recognized free play as a comprehensive gift set, meaning of existence, and adventure. In the free play support method, teachers are providing a play environment that can accept anything, the relationship to open the chances of play, the minimum intervention, the generous mind, and the relaxed life with the rhythm of the inhalation-exhalation. They are also playing a role as the support group of various profiles and worker living an exemplary life. The teachers recognized the effects of free play as a way of being a truly free children and taking the center presence as free teachers.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연구방법 및 절차
III. 연구결과 및 해석
I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은총(Eunchong Seo),윤선영(Sunyoung Yoon),오윤정(Yoonjung Oh). (2020).발도르프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유놀이 지원과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질적탐구, 6 (1), 395-428

MLA

서은총(Eunchong Seo),윤선영(Sunyoung Yoon),오윤정(Yoonjung Oh). "발도르프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유놀이 지원과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질적탐구, 6.1(2020): 395-4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