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Inquiry on the Concept of Autoethnography Based on Counseling Theory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이현진(Hyunjin Lee) 이동성(Dongsung Lee) 김명찬(Myeungchan Kim)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6권 제1호, 71~10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상담학 이론에 기반하여 자문기술지의 개념적 특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문헌고찰은 선행 연구를 검토해서 특정 문제를 탐색하고 분석하는 연구방법으로,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문화기술지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자문화기술지의 정의, 연속체, 3요소가 상담학 이론의 개념들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자문화기술지의 3요소인 자기(auto), 문화(ethno), 기술지(graphy)와 상담학 이론의 인간관, 세계관, 연구과정을 다루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학 이론에 기반한 자문화기술지의 정의는 개인에 초점을 두고, 그 개인이 속해 있는 사회에서의 관계, 상호문화적인 것에 대해 이야기 하는 연구방법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상담학 이론에 기반한 자문화기술지 연속체는 개인적, 관계적, 상호문화적의 연속체로 정의할 수 있다. 셋째, 상담학 이론에 기반한 자문화기술지의 ‘자기(auto)’는 조절 가능한 개인이 공동체,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으며 충분히 기능할 수 있는 존재이며, ‘문화(ethno)’는 자신과 타인,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상호문화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고, ‘기술지(graphy)’는 상담과정에 연결할 수 있었다. 이 글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학 이론에 기반한 자문화기술지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 of autoethnography based on counseling theory. For this purpose,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he literature review is a research method to explore and analyze specific problem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Firstly, the concept of autoethnography was examined. Secondly, it examined how the definition, continuum, and three elements of autoethnography can be connected to the concepts of counseling theory. In this process, it studied three elements of autoethnography; auto, culture, and technology, and the view on human beings, world view, and research process of counseling theo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utoethnography can be defined, based on the counseling theory as a research method that focuses on individuals and talks about the relationship and intercultural things in the society the individual belongs to. Second, the continuum of autoethnography based on the theory of counseling can be defined as a continuum of individual, relational, and intercultural. Third, the auto of autoethnography based on counseling theory can be connected to the existence of a fully functioning entity of the controllable individual being influenced by the community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ethno can be connected to the thing that forms the intercultural relationship through the interaction of oneself, others, and the environment while the graphy can be connected to the counseling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autoethnography based on counseling theory were discussed.
목차
I. 들어가며
II. 이론적 고찰
III. 연구과정
IV. 연구결과
V. 나가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수험생 삶과 대학선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초등교사의 창의적 수업 경험 탐색
- 포항지진 피해자들의 갈등과 공동체성 회복에 관한 연구
- 독거노인 생활관리사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워킹맘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본 박물관 교육 참가자들의 의미 유형 연구
-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요양원에 입소한 노모의 생활세계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상담학 이론에 기반한 자문화기술지의 개념적 특질 탐색
- 담화/담론연구의 이론적 토대 탐색
- Qualitative research on language education and teaching: trends and opportunities, with an illustrative analysis of two Australian examples
- 내러티브 면담에 관한 방법론적 탐구
- 발도르프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유놀이 지원과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 특수학교 전공과 교과운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사이버 직업공동체의 호혜적 실천과 가능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설계 및 적용
- 증강텍스트 읽기 수업에 대한 독자의 흥미 연구
- 공통국어 1 수행평가의 문제 양상 분석 - 수행평가의 내실화와 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