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Foundations of Discourse Studies: Expanding a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ology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신동일(Dongil Shin)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6권 제1호, 1~4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제간/통합적 ‘연구방법론’으로서 담화/담론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탐색하고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 갖는 확장가능성과 한계점을 (비판적) 응용언어학자의 시선과 관련 연구문헌으로 논의해보는 것이다. 지금까지 담화/담론연구는 언어와 사회, 텍스트와 콘텍스트, 이론과 현장, 사회적 현실과 담론의 매개, 미시적 언어 장치와 거시적 권력관계 등의 이항 중 한편에 갇혀 있었기에, 다양한 인문사회 학술 분야에서 서로 다른 이론적 토대를 탐색하면서 보다 다층적이면서도 통합적인 학제간 연구방법론으로 다시 타당화시킬 필요가 있다. 담화/담론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점검하기 위해 본 연구는 형태/구조, 기능/사용, 사회적 실천에 관심을 둔 서로 다른 접근방식을 먼저 구분한다. 그런 다음에 담화/담론이 매개하는 네 가지 연구방법(비판적 담론연구, 비평적 텍스트분석, 사회적 구성 텍스트분석, 사회적 구성 담론연구)을 비판적-구성주의적, 콘텍스트-텍스트 지향성의 이항 축으로부터 조합하여, 국내 응용언어학/언어교육 연구사례와 함께 부연하도록 한다. 아울러 담화/담론연구의 확장가능성과 한계점을 간략하게 열거하고 관련 연구자들이 앞으로 감당해야 할 역량과 역할 역시 다뤄보기로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oretical foundations of discourse analysis a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ology in the eye of a (critical) applied linguistics. It focuses on the status as a research methodology, rather than just one of the methods to analyze qualitative data. The historically categorized foundations will be discussed on different approaches to discourse studies: formal, functional, social. The four major research perspectives, elaborated with empirical studies of mostly applied linguistics and language education in Korea, will then be divided into (1) critical discourse analysis, (2) critical linguistic analysis, (3) social linguistic analysis, (4) interpretive structuralism. The strength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discourse analysis (methodology) will also be discussed. This article will conclude wit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of methodological develop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fills the gap between linguistics and social approaches to discourse analysis, by providing a systematic frame for embracing a strong social constructivist view of social world.
목차
I. 서론
II. 서로 다른 이론적 토대
III. 연구방법의 기획과 실행
IV. 분석도구로서 확장성과 한계점
V. 담화/담론 연구(자)의 역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수험생 삶과 대학선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초등교사의 창의적 수업 경험 탐색
- 포항지진 피해자들의 갈등과 공동체성 회복에 관한 연구
- 독거노인 생활관리사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워킹맘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본 박물관 교육 참가자들의 의미 유형 연구
-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요양원에 입소한 노모의 생활세계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상담학 이론에 기반한 자문화기술지의 개념적 특질 탐색
- 담화/담론연구의 이론적 토대 탐색
- Qualitative research on language education and teaching: trends and opportunities, with an illustrative analysis of two Australian examples
- 내러티브 면담에 관한 방법론적 탐구
- 발도르프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유놀이 지원과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 특수학교 전공과 교과운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사이버 직업공동체의 호혜적 실천과 가능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설계 및 적용
- 증강텍스트 읽기 수업에 대한 독자의 흥미 연구
- 공통국어 1 수행평가의 문제 양상 분석 - 수행평가의 내실화와 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