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Student Life and University Choice Experience of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임경수(Kyungsoo Lim) 손은령(Eunyoung Son)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6권 제1호, 213~253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진로선택 경험이 어떠했는지에 관해 발생적 맥락에서 그들의 수험생 삶의 경험을 탐색하고 대학선택 과정의 경험에 대한 의미와 본질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질적 연구 방법 중,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여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수험생 삶과 대학선택의 경험 세계를 Merleau-Ponty의 존재론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일반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연구 참여자의 체험이 지니는 본질적 의미를 찾기 위해 면담기간은 6개월이고, 참여자마다 2회씩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경쟁의 공간에서 포기 그리고 후회, 미래를 담보한 공간에서의 긴 학습시간, 선택의 제한과 몸의 공감, 힘겨운 시간, 학교 공간에서의 몸의 현상 체험, 피하고 싶은 존재와 공간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의 진로선택을 위한 실존의 모습은 체험된 공간, 체험된 시간, 체험된 몸, 체험된 관계를 통한 지각이었고 자신의 실존을 구성하다는 것이었다. 학생들은 진학을 위한 수험생으로서의 긴 시간의 삶은 또한 그들의 몸에도 반영되었는데 그들은 시험과 성적관리 스트레스로 인하여 다양한 증상에 시달리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부모, 교사와의 의사소통을 통한 대학선택을 자신의 목소리와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세계에 내보이고 싶어 하는 현존재로서의 의미 있는 실존체로 드러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the students’ life and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university choice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in a genetic context. The researcher applied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to approach and understand the process of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student life and university choice experience from Merleau-Ponty’s ontological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a six-month in-depth interview for each participant to learn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a research participant who graduated from a general high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abandonment and regret in the space of competition, the long learning time in the space to prepare for the future, limitation of choice and body empathy, turbulent time, the experience of the phenomena of the body in the school space, existence and space to avoid. The existence for career choice of the participants was perceived through experienced space, experienced time, experienced body, experienced relationship, and constituted one’s existence. The students’ long and turbulent time to prepare for university entrance was also reflected in their bodies, as it confirmed that they were suffering from various symptoms due to a series of exams and stress from grade management. In addition, it revealed that they are meaningful entities as an existing being who wants to express in their own voice for the university choice through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teachers and wants to show themselves to the world in the direction they want.
목차
I. 들어가며
II. 연구방법
III. 수험생 삶과 대학선택 경험
IV. 결론: 수험생 삶과 대학선택 경험의 의미
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수험생 삶과 대학선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초등교사의 창의적 수업 경험 탐색
- 포항지진 피해자들의 갈등과 공동체성 회복에 관한 연구
- 독거노인 생활관리사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워킹맘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본 박물관 교육 참가자들의 의미 유형 연구
-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요양원에 입소한 노모의 생활세계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상담학 이론에 기반한 자문화기술지의 개념적 특질 탐색
- 담화/담론연구의 이론적 토대 탐색
- Qualitative research on language education and teaching: trends and opportunities, with an illustrative analysis of two Australian examples
- 내러티브 면담에 관한 방법론적 탐구
- 발도르프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유놀이 지원과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 특수학교 전공과 교과운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사이버 직업공동체의 호혜적 실천과 가능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원교육 제41권 제5호 목차
-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을 중심으로
- 학교공간혁신 참여설계 과정에서 교사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역량 - FGI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