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1,563

영문명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 Focused on Career Course and Career Construction Theory
발행기관
한국질적탐구학회
저자명
강미영(Miyoung Kang) 김봉환(Bongwhan Kim)
간행물 정보
『질적탐구』제6권 제1호, 255~304쪽, 전체 5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0
8,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대학생인 개별 인간의 삶과 진로구성 경험을 이해하는데 있다. 내러티브 탐구로 수행된 본 연구는 대학에서 진로교과목을 수강했던 대학생 2명과 함께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참조하여 4단계로 수행되었으며,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을 질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해석적 틀로써 진로구성 이론이 활용되었다. 진로구성 인터뷰 질문들은 자료 수집, 분석 및 해석 등 연구 전반에 적용되었으며, 핵심개념인 생애진로주제, 직업적 성격, 진로적응성을 중심으로 경험의 의미가 도출되었다.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의 의미는 ‘굴레의 존재와 소유에 관한 깨달음’, ‘언어로써 세상에 다다르다’, ‘다시 속눈으로 통찰’, ‘전미래의 현시’, ‘허브에서의 재출발’로 도출되었다. 진로상담 및 교육 현장에 전할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인 연구참여자들이 살아낸 삶의 이야기들은 ‘주체적 해석과 다시 이야기하기’를 통해 그들의 진로구성 경험을 형성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진로교과목 수강과정에서 다양한 상호작용 활동에 참여하며 ‘스스로, 더불어’ 진로를 구성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은 ‘스스로, 더불어 살아가는 자기 세움’의 의미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계적 탐구과정이 결과적으로 연구참여자의 삶에 의미 있는 도움이 되기를 소망하며,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에 관한 새로운 이해가 진로교육의 실천을 바르게 하고, 진로상담 및 교육 현장의 공기를 전환시키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individual human life and career constr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four stages with reference to the narrative inquiry process of Clandinin and Connelly(2000) with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he career course in the university. In the study, the career construction theory was used as an interpretive framework to effectively understand and explain the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quality. The questions of career construction interview were applied to the entire study, including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nd the meaning of experience was derived, focusing on the core concepts such as life career theme, occupational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The meaning of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was derived as ‘Enlightenment about the existence and possession of the yoke’ ‘Reach the world in language’, ‘Insights again with inward eyes,’ ‘Revelation of Futur Antérieur,’ and ‘The Re-start in Hub.’ The practical implications to be presented in the field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stories of life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survived have formed their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s through ‘Subjective interpretation and Talking again’. Second, 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various interaction activities in the career course and constructed a career ‘By oneself and Together.’ Third, the experience of career constru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eans ‘By oneself, Self-Construction living together.’ This study hopes that this relational inquiry process will be a meaningful help for the lif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it is expected that a new understanding of the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will contribute to the practice of career education and to transform the atmosphere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목차

I. 서론
II. 연구 절차
III.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 이야기
IV.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의 의미
V.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미영(Miyoung Kang),김봉환(Bongwhan Kim). (2020).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질적탐구, 6 (1), 255-304

MLA

강미영(Miyoung Kang),김봉환(Bongwhan Kim).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질적탐구, 6.1(2020): 255-3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