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utoethnography on Senior Citizen Life Manager’s Experiences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문경옥(Kyungok Moon) 진명일(Moungil Jin)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6권 제1호, 429~45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독거노인 생활관리사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연구이다.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통하여 내가 직접 만나고 상담하면서 경험한 독거노인의 삶을 밝혔다. 이 과정에서 독거노인들의 삶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었다. 또한 독거노인들에게 질적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노인들을 위한 사회적 서비스, 제도, 정책과 같은 요소들을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독거노인들의 현실과 상담의 필요성, 독거노인 생활관리사의 직무역량 강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더불어 독거노인의 문제를 한 개인의 문제에 국한 시키지 않고 독거노인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였고 다양한 독거노인에 대한 경험을 통하여 노인들의 문제해결을 위한 질적인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an autoethnography study on experiences of the senior citizen life manager’s. Through the research method of autoethnography, the researchers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counseling in the process of healing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why they focus on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learned about the realit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need for counseling, and the strengthening the capability of the life manager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In addition, the study reviewed the issu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of an individual, but in the expanded context of social issue. It is also expected to provide consulting insight in solving various problem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further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of the life managemen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life, with diverse experiences with the elderly.
목차
I. 들어가며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나가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수험생 삶과 대학선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초등교사의 창의적 수업 경험 탐색
- 포항지진 피해자들의 갈등과 공동체성 회복에 관한 연구
- 독거노인 생활관리사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워킹맘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본 박물관 교육 참가자들의 의미 유형 연구
-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요양원에 입소한 노모의 생활세계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상담학 이론에 기반한 자문화기술지의 개념적 특질 탐색
- 담화/담론연구의 이론적 토대 탐색
- Qualitative research on language education and teaching: trends and opportunities, with an illustrative analysis of two Australian examples
- 내러티브 면담에 관한 방법론적 탐구
- 발도르프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유놀이 지원과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 특수학교 전공과 교과운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사이버 직업공동체의 호혜적 실천과 가능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원교육 제41권 제5호 목차
-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을 중심으로
- 학교공간혁신 참여설계 과정에서 교사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역량 - FGI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