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교육과 관계된 세계시민교육’ 연구경향
이용수 1,255
- 영문명
- Research Tren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related to Schooling Education’ : Using Network Text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선정(Kim SeonJeong) 주기언(Zhou Qiyan) 김영환(Kim YoungHw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5호, 207~22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15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시민교육이 한국의 학교교육과 관계하여 어떠한 연구경향성을 띄는지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논문초록에 ‘학교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이 함께 나타난 172편의 논문들의 주요색인어(index)들을 추출하고, 색인어 간에 관계를 파악하는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색인어빈도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사회(society)’개념이 가장 높았다. 교수학습측면에는 ‘교육과정’이, 교육대상에는 ‘교사’가, 교육영역에는 ‘민주시민교육(비교과)’과 ‘사회과(교과)’, 그리고 국가로는 ‘미국’의 빈도가 높았다. 둘째, 주요색인어간에 네트워크 분석결과 ‘학교↔사회과(교과)↔교육과정’이 가장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비교과목 가운데서 ‘학교’와 높은 연결성을 보인 것은 ‘다문화교육’이었고, 학교 급별로는 ‘초중등학교’가 두드러졌다. 한편 ‘개발교육’과 ‘예술교육’도 지도의 중심에서 비교적 높은 연결정도를 보였지만 ‘학교’와의 매개중심성이 높지 않았다. 그 시사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시민교육과 관련된 교과 및 비교과영역들이 사회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과목들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지금까지는 초중등을 대상으로 한 세계시민교육연구가 많았지만, 향후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고등교육과 청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아질 필요가 있다. 셋째, 학문의 균형 발전을 위해 세계시민교육을 수용적이기 보다는 비판적이며 성찰적 자세로 검토하는 연구들이 더 많이 필요한 시점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research trend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related to Schooling education in Korea. To accomplish this, we extracted the main indexes of 172 papers that included ‘Schooling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abstract of the paper, and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x words, network text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dex frequency analysis, the concept of ‘Society’ was the highest overall. The frequency of ‘Education curriculum’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Teacher’ in terms of education subject, ‘Democratic civic education (non-formal edu.)’ and ‘Social studies(formal edu.)’ in terms of education fields, ‘America’ was the most appeared in terms of countries. Secondly, through the network analysis between the index words, it is confirmed that ‘School ↔ Social studies(formal edu.) ↔ Curriculum’ was most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Also, among the comparative courses, ‘Multi-cultural education’ was the one that showed high connectivity with ‘School’. By school level,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was prominent. On the other hand, ‘Development education’ and ‘Art education’ showed a high degree of connection at the center of the map, but it’s connection with ‘School’ was not high.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seems that among the subjects and comparative courses, various subjects can be related to GCED, not only confined to Social studies. Second,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ies on GCED for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Lifelong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studies on higher education and adults. Third, in order to promote the balanced development of academic,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udy on GCED in a critical and reflective manner rather than a receptive on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국내외적 흐름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누리과정 기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구성 방향 탐색
- 체육교사지도유형과 수업만족도 및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분석
-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직무 임파워먼트, 영ㆍ유아학대 인식, 영ㆍ유아학대 실제행동에 대한 자기평가와의 관계 분석
-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을 적용한 영작문 수업모델의 개발
- 지적장애학생 상담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연구동향 분석
- 신입생 동기유발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동기 및 교직열정에 미치는 효과
- 직전교사 체육심화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경험과 인식
- 유아영어학습에서의 교사 유형이 학습자의 흥미도, 동기/태도,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지방대학 신입생의 학업중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한국과 중국의 학교평가제도 및 연구동향 비교
- 밸런스 트레이닝이 중학교 배드민턴선수의 자세안정화 및 기능적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중학년과 고학년의 쓰기 발달 비교 분석
- 창의활동을 적용한 비교과프로그램이 대학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학교교육과 관계된 세계시민교육’ 연구경향
- 대학 수업에서의 플립드 러닝 실천 확산을 위한 교수 인식 연구
- 자율적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전문가 역량 및 학교태도에 미치는 영향
- 실존적 사유를 통한 김수영 시 읽기 방법
- 온라인 간호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임상실습간호교육의 효과
-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위한 대인간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관한 연구
- From Demotivated to Inspired: Flipping a Test-Based English Class
- 쓰기 수행 수준에 따른 중학생 논설문의 텍스트 시각화 분석
- 대학 프로젝트 수업에서 팀 협력방식과 팀 리더 유형이 팀 역량에 미치는 영향
- 미래의 발명 CEO 탐색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사례 분석
- 정신건강 관심군에 대한 또래 학생들의 사회적 스티그마 연구
-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과 디지털교과서 개발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