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중국의 학교평가제도 및 연구동향 비교
이용수 488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chool Evaluation Trends between Korea and Chin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한나(Kim Hann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5호, 47~7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15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학교평가 제도를 살피고, 연구동향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향후 양국의 학교평가 제도 및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양국 학교평가 제도를 실시 주체, 주기, 지표, 목적, 절차 및 방법, 내용과 결과활용의 7가지 항목으로 비교하였으며, 1980년부터 2016년까지의 양국 학교평가 관련 연구논문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학교평가 관련 논문으로 중국 984편, 한국 236편으로 나타났고, 주요 관심영역은 중국은 학생, 교사, 도구 및 지표 개발, 학교장, 교수활동, 한국은 수행평가, 교사, 학생, 학교단위, 도구 및 지표 개발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자체평가 관련 논문은 중국은 12편, 한국은 26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90년대 후반이후 양국 모두 학교평가에 대한 연구가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현재는 학교자체평가로 변화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양국 학교평가의 상호발전방향을 모색하고 상호이해를 증진시켰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chool evaluation system in Korea and China and to suggest some suggestions for future school evaluation system and developmen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order to do this, we compared 7 subjects: subjects, cycles, indicators, objectives, procedures and methods, contents and results, and examined the research papers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schools in both countries from 1980 to 2016. As a result of the research, 984 chapters in China and 236 chapters in Korea were analyzed. The main areas of interest were that China showed students, teachers, tools and indicators development, principals, teaching activities, and Korea showed performance evaluation, teachers, students, School Unit And development of tools and indicators. The paper on the self evaluation of the school showed 12 in China and 26 in Korea.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study of school evaluation has rapidly increased in both countries since the late 1990 ’s and now it is changing to school self evaluation. In addi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sought mutual development direction of mutual school evaluation of both countries and promoted mutual understanding.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한국과 중국 학교평가 제도의 이해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누리과정 기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구성 방향 탐색
- 체육교사지도유형과 수업만족도 및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분석
-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직무 임파워먼트, 영ㆍ유아학대 인식, 영ㆍ유아학대 실제행동에 대한 자기평가와의 관계 분석
-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을 적용한 영작문 수업모델의 개발
- 지적장애학생 상담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연구동향 분석
- 신입생 동기유발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동기 및 교직열정에 미치는 효과
- 직전교사 체육심화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경험과 인식
- 유아영어학습에서의 교사 유형이 학습자의 흥미도, 동기/태도,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지방대학 신입생의 학업중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한국과 중국의 학교평가제도 및 연구동향 비교
- 밸런스 트레이닝이 중학교 배드민턴선수의 자세안정화 및 기능적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중학년과 고학년의 쓰기 발달 비교 분석
- 창의활동을 적용한 비교과프로그램이 대학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학교교육과 관계된 세계시민교육’ 연구경향
- 대학 수업에서의 플립드 러닝 실천 확산을 위한 교수 인식 연구
- 자율적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전문가 역량 및 학교태도에 미치는 영향
- 실존적 사유를 통한 김수영 시 읽기 방법
- 온라인 간호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임상실습간호교육의 효과
-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위한 대인간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관한 연구
- From Demotivated to Inspired: Flipping a Test-Based English Class
- 쓰기 수행 수준에 따른 중학생 논설문의 텍스트 시각화 분석
- 대학 프로젝트 수업에서 팀 협력방식과 팀 리더 유형이 팀 역량에 미치는 영향
- 미래의 발명 CEO 탐색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사례 분석
- 정신건강 관심군에 대한 또래 학생들의 사회적 스티그마 연구
-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과 디지털교과서 개발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종주의 그림책에서 나타난 타자와 환대윤리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