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쓰기 수행 수준에 따른 중학생 논설문의 텍스트 시각화 분석

이용수  766

영문명
Text Visualization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Discourse According to Writing Performance Level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슬기(Lee SeulKi) 박영민(Park YoungMi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5호, 401~4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15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글에 사용된 어휘를 시각화함으로써 쓰기 수준에 따른 학생 글의 차이를 직관적이면서도 정량적인 방법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4월부터 3개월 간 중학생 40명의 논설문을 임의로 수집한 후 텍스트 마이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질적 수준에 대한 평정 결과에 따라 집단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텍스트 시각화의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 논술문에서는 전반적으로 쉬운 어휘의 사용 빈도가 높았다. 이를 통해 판단하건대 중학생들이 논설문 쓰기에서 사용하는 어휘의 수준은 어휘 발달 연구에서 제안된 것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쓰기 수준이 높은 학생 글에서는 상대적으로 명사와 서술어가 다양하게 쓰였다. 어휘 다양성의 차이가 쓰기 수준의 차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접속부사의 사용은 쓰기 수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 집단의 글에서는 문장을 시간 순서로 나열하는 접속부사가 주로 쓰인 반면, 상위 집단의 글에서는 인과와 역접과 같은 논리적 순서를 드러내는 접속부사가 주로 쓰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텍스트 시각화의 방법으로 직관적이면서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를 통해서 학생 글을 텍스트 시각화의 방법으로 분석하는 것이 학생 글 평가에 활용 가능한 방안임을 탐색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s in students’ writing according to their writing proficiency intuitively and quantitatively by visualizing the vocabulary used in their writing. To this end, during three month since 2017 April, 40 essay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randomly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ext mining technique,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were presented using text visualiza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First, high use frequency of generally easy vocabulary was found in the essays of middle school students. Judging from the finding, the level of vocabulary us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ir essay writing tended to be lower than the level suggested in studies of vocabulary development. Second, use of various nouns and predicates were relatively high in the essays of students with high level of writing proficiency. The difference in vocabulary diversity appears to be related to the difference in writing proficiency. Third, clear differences were seen in the use of conjunctive adverbs according to the writing proficiency. Conjunctive adverbs that list sentences in chronological order were mostly used in the essays of low writing proficiency group, while conjunctive adverbs that show logical order such as cause and effect and adversatives were mostly used in the essays of high writing proficiency group. This study made it possible to intuitively and quantitatively understand such differences by text visualization, and through the findings, it was confirmed that analyzing students’ essays by using text visualization is a valid method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in evaluating students’ essay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슬기(Lee SeulKi),박영민(Park YoungMin). (2017).쓰기 수행 수준에 따른 중학생 논설문의 텍스트 시각화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15), 401-422

MLA

이슬기(Lee SeulKi),박영민(Park YoungMin). "쓰기 수행 수준에 따른 중학생 논설문의 텍스트 시각화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5(2017): 401-4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