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체육교사지도유형과 수업만족도 및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분석
이용수 821
- 영문명
-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Type, Satisfaction and Exercise Persist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성준(Cho SungJun) 김혜진(Kim Hyeoi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5호, 137~15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15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체육교사 지도유형과 수업 만족도 및 운동 지속성과의 인과 관계를 검증하고, 수업만족도가 의미 있는 매개효과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16년 경기도 수원지역에서 B중학교에 있는 1,2,3학년 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표본추출은 비확률 표집방법의 하나인 편의표집방법을 이용하여 300명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내용이 부실한 91부를 제외한 209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하였다. 체육교사 지도유형과 수업만족도 및 운동지속 변수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체육교사 지도유형과 수업 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체육교사 지도유형은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만족도와 운동지속에 관한 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업만족도는 운동지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교사 지도유형과 운동지속에 관한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도유형은 운동지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체육교사 지도유형과 운동지속에서 수업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업만족도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체육교사의 지도유형이 중학생들의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민주적 행동형, 긍정적 보상형, 전제적 행동형, 교수와 지시형의 지도유형이 교수행동 만족과 실력향상, 체육환경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어 만족도가 향상되고 이러한 결과들로 인해 지속적으로 운동에 참여할 수 있는 동기부여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type, class satisfaction, and exercise persistenc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 played a meaningful mediating role. A total of 209 students in B middle school in Suwon,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urvey instrument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struction type, class satisfaction, and exercise persistence variabl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mediation effectivenes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education teacher guidance type and class satisfaction, physical education teacher guidance typ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class satisfaction.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 and exercise persistence,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xercise persistenc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and exercise persistence, the type of instru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xercise persistence. Finally,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class satisfaction on the typ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exercise persistence showed that the class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ional styl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ffects th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type of instruction of democratic behavior, positive compensation type, (+) To the satisfaction level, and these results provid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exercise continuousl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누리과정 기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구성 방향 탐색
- 체육교사지도유형과 수업만족도 및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분석
-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직무 임파워먼트, 영ㆍ유아학대 인식, 영ㆍ유아학대 실제행동에 대한 자기평가와의 관계 분석
-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을 적용한 영작문 수업모델의 개발
- 지적장애학생 상담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연구동향 분석
- 신입생 동기유발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동기 및 교직열정에 미치는 효과
- 직전교사 체육심화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경험과 인식
- 유아영어학습에서의 교사 유형이 학습자의 흥미도, 동기/태도,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지방대학 신입생의 학업중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한국과 중국의 학교평가제도 및 연구동향 비교
- 밸런스 트레이닝이 중학교 배드민턴선수의 자세안정화 및 기능적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중학년과 고학년의 쓰기 발달 비교 분석
- 창의활동을 적용한 비교과프로그램이 대학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학교교육과 관계된 세계시민교육’ 연구경향
- 대학 수업에서의 플립드 러닝 실천 확산을 위한 교수 인식 연구
- 자율적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전문가 역량 및 학교태도에 미치는 영향
- 실존적 사유를 통한 김수영 시 읽기 방법
- 온라인 간호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임상실습간호교육의 효과
-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위한 대인간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관한 연구
- From Demotivated to Inspired: Flipping a Test-Based English Class
- 쓰기 수행 수준에 따른 중학생 논설문의 텍스트 시각화 분석
- 대학 프로젝트 수업에서 팀 협력방식과 팀 리더 유형이 팀 역량에 미치는 영향
- 미래의 발명 CEO 탐색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사례 분석
- 정신건강 관심군에 대한 또래 학생들의 사회적 스티그마 연구
-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과 디지털교과서 개발 사례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