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직무 임파워먼트, 영ㆍ유아학대 인식, 영ㆍ유아학대 실제행동에 대한 자기평가와의 관계 분석
이용수 205
- 영문명
-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Child Abuse Awareness and Self-evaluation on Actual Child Abuse Behaviors of Child Daycare and Pre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나인숙(In Sook Na) 이기종(Ki Jong R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5호, 229~24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15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직무 임파워먼트, 영ㆍ유아학대에 대한 인식, 영ㆍ유아학대 실제 행동에 대한 자기 평가에 대하여 알아보고, 직무임파워먼트, 영ㆍ유아학대에 대한인식, 영ㆍ유아학대 실제 행동에 대한 자기평가와의 관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영ㆍ유아학대 예방을 위한 방안모색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4월 11일부터 5월 2일까지 수도권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의 현직 교사 316명을 대상으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육기관교사 직무 임파워먼트에서는 지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영ㆍ유아교사들은 방임이 가장 심각한 영ㆍ유아학대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정서학대를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ㆍ유아학대 실제행동 자기평가 분석에서는 정서학대를 가장 많이 하고 성적학대를 가장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직무 임파워먼트, 영ㆍ유아학대에 대한 인식, 영ㆍ유아학대 실제 행동에 대한 자기 평가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영ㆍ유아 학대인식과 학대 실제행동 자기평가에서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으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직무임파워먼트를 높이고 영ㆍ유아학대를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powerment, child abuse awareness and self-evaluation on actual child abuse behaviors of child daycare and preschool teachers and to lay groundwork for prevention of child abuse by analyzing of relationship between them. For this, 316 teachers who work in child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around Seoul, were observed by a behavior scale from Apr.11 to May 2, 2017. AS the results; first, the highest scores were given to the position for empowerment Second, daycare and preschool teachers appreciate that neglectedness is the most serious child abuse and an emotional abuse is the most common one they do. Third, it appears that emotional abuse is the most and sexual abuse is the least what they actually do to children from the analysis of self-evaluation. Forth,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child abuse awareness and self-evaluation on actual child abuse behaviors of child daycare and preschool teacher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 abuse awareness and self-evaluation on actual child abuse behaviors of child daycare and preschool teachers. Also, it showed that empowerment and child abuse awareness influence to actual child abuse behaviors of child daycare and preschool teachers. Therefore, various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are needed for increasing their empowerment and preventing child abus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누리과정 기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구성 방향 탐색
- 체육교사지도유형과 수업만족도 및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분석
-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직무 임파워먼트, 영ㆍ유아학대 인식, 영ㆍ유아학대 실제행동에 대한 자기평가와의 관계 분석
-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을 적용한 영작문 수업모델의 개발
- 지적장애학생 상담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연구동향 분석
- 신입생 동기유발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동기 및 교직열정에 미치는 효과
- 직전교사 체육심화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경험과 인식
- 유아영어학습에서의 교사 유형이 학습자의 흥미도, 동기/태도,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지방대학 신입생의 학업중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한국과 중국의 학교평가제도 및 연구동향 비교
- 밸런스 트레이닝이 중학교 배드민턴선수의 자세안정화 및 기능적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중학년과 고학년의 쓰기 발달 비교 분석
- 창의활동을 적용한 비교과프로그램이 대학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학교교육과 관계된 세계시민교육’ 연구경향
- 대학 수업에서의 플립드 러닝 실천 확산을 위한 교수 인식 연구
- 자율적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전문가 역량 및 학교태도에 미치는 영향
- 실존적 사유를 통한 김수영 시 읽기 방법
- 온라인 간호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임상실습간호교육의 효과
-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위한 대인간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관한 연구
- From Demotivated to Inspired: Flipping a Test-Based English Class
- 쓰기 수행 수준에 따른 중학생 논설문의 텍스트 시각화 분석
- 대학 프로젝트 수업에서 팀 협력방식과 팀 리더 유형이 팀 역량에 미치는 영향
- 미래의 발명 CEO 탐색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사례 분석
- 정신건강 관심군에 대한 또래 학생들의 사회적 스티그마 연구
-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과 디지털교과서 개발 사례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