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헌법상 근본적 권리와 한국헌법상 열거되지 아니한 자유와 권리의 도출근거
이용수 347
- 영문명
- Deriving Bases of the Fundamental Rights under the U.S. Constitution and Freedoms and Rights that are not Enumerated in the Korean Constitution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 저자명
- 김현철(Kim, Hyun-Chul)
- 간행물 정보
- 『법학논총』제20권 제2호, 263~29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헌법 제37조 제1항은 “국민의 자유와 권리는 헌법에 열거되지 아니한 이유로 경시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우리 헌법재판소는 일부 사례에서 헌법 제37조 제1항을 헌법에서 열거되지 아니한 자유와 권리를 헌법상 보장되는 기본권으로 도출하는 근거조항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입장이 과연 옳은 태도인가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우리 헌법 제37조 제1항의 모델이 된 미국 연방헌법 수정 제9조의 역할에 대하여 미국의 학설은 여러 가지 견해가 있고, 그 중에는 ‘근본적 권리’ 즉 ‘헌법에 열거되지 아니한 권리’ 확인의 근거조항이라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미국연방대법원은 그러한 견해를 수용하고 있지 않다. 이는 연방대법원이 위 수정 제9조의 입법연혁과 관련하여 헌법 제정자들은 동 조항을 입법자에 대한 경고의 의미로 입법하였다는 견해를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연방헌법 수정 제9조의 영향 하에 1948년 제헌헌법 제28조에 규정된 헌법에 열거되지 아니한 권리들을 위한 특별조항의 우선적인 수범자는 입법자라고 보아야 한다. 그러므로 헌법제정자가 동 조항을 통하여 제시한 명령을 입법자가 제대로 수행했는지 여부를 가리는 판단자인 헌법재판소로서는 만연히 동 조항을 헌법에 열거되지 아니한 자유와 권리의 근거조항으로 거론해서는 안 된다. 이는 동 조항을 단독으로 거론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헌법 조항과 함께 드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헌법재판소로서는 헌법에 열거되지 아니한 자유와 권리를 기본권으로 인정함에 있어서 기존의 다른 헌법조항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그리하여 개별 기본권조항으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면 그에 의하고, 그렇지 않으면 포괄조항인 헌법 제10조에서 찾든가, 아니면 헌법 제10조와 다른 기본 권조항을 결합하여 그 근거조항으로 들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Korean Constitution (hereafter as “the Constitution”) Art. 37(1) (hereafter as“the Provision”) prescribes : “Freedoms and rights of citizens shall not be neglected on the grounds that they are not enumerated in the Constitution. Korean Constitutional Court (hereafter as “the Court”) has used the Provision as the ground provision from which it derives freedoms and rights that are not enumerated in the Constitution as the basic rights that are guaranteed under the Constitution.
But a question rises whether such standpoint is right or not. Concerning the role of the U.S. Constitution Amendment Art. 9 (hereafter as "the U.S. Provision) that is the model of the Provision, there are many theories one of which is that the U.S. Provision is the ground provision of affirming the fundamental rights that are not enumerated in the U.S. Constitution. But the U.S. Supreme Court does not have accepted such opinion. It means that the U.S. Supreme Court receives the theory that the Founding Fathers stipulated the U.S. Provision as a warning to the legislatures.
Since the Provision was set up under the influence of the U.S. Provision, the Provision should firstly apply to the Korean legislature. Therefore, the Court which decides whether the legislature has successfully accomplished the orders that the Korean Founding Fathers set up through the Provision, should not carelessly tell the Provision as the ground provision of the freedoms and rights that are not enumerated in the Constitution. The Court should firstly consider other existing Constitutional provisions when it confirms the freedoms and rights that are not enumerated in the Constitution as the basic rights.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미국 연방헌법상 근본적 권리와 수정 제9조
Ⅲ. 우리 헌법상 열거되지 아니한 권리와 그 인정의 헌법적 근거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장애인권리옹호체계(P&A System)의 국내법체계 수용가능성
- 주권상장법인의 다양한 종류의 주식 발행에 관한 소고
- 位置商標(Position Mark)에 대한 比較法的 硏究
- 중국정부의 거시적 조절정책의 규범적 효력에 관한 연구
- 정신병적 아동성범죄자에 대한 형사정책적 대안
- 일수벌금형제도의 도입방안에 대한 제언
- 통고처분에 관한 소고
- 보통법계 국가에서의 주주대표소송 현황
- 특허침해소송에서 권리남용 법리 적용의 문제점
- 부부 쌍방의 소극재산 총액이 적극재산 총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재산분할이 가능한지 여부
- 예방접종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의 성립요건
- 위법수집증거와 독수과실의 원칙의 제한
- 주식회사 경영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상법상의 제도변천에 관한 연구
- 청산적 재산분할과 부양적 재산분할의 독립과 ‘2분의 1 원칙’에 대한 재고
- 중국 영상산업(影视産業)의 외국인투자 규제에 관한 법제 연구
- 서해 북방한계선(NLL)의 법적 문제와 평화적 해법
- 사용자의 언론의 자유와 부당노동행위
- 재산명시제도의 재조명
- 시민의 민사재판 참여 방안
- 오늘날 프랑스 꽁세이데따의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
- 손해방지의무와 손해방지비용에 대한 보험계약법상 고찰
- 중국의 자유무역협정(FTA)에서의 환경규정
- 미군정기 미법률고문과 대륙법 및 영미법의 교착
- 농지(農地)의 정의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 미술품거래사기에 관한 몇 가지 쟁점
- 수사단계의 적법절차원리에 대한 고찰
- 남북경협사업과 투자분쟁의 해결
-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상 탈북민의 법적 지위
- 캐나다 전자소송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미국헌법상 근본적 권리와 한국헌법상 열거되지 아니한 자유와 권리의 도출근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