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민의 민사재판 참여 방안
이용수 149
- 영문명
- For Participation of Professional Expert in Civil Trials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 저자명
- 김용진(Kim, Yong-Jin)
- 간행물 정보
- 『법학논총』제20권 제2호, 437~47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이미 2008년부터 형사절차에 대한 시민의 참여를 제한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반면에, 민사재판에의 시민참여 방식에 관한 논의는 작금에 이르러서도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이 논문은 민사재판에 시민이 참여하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논문은 배심원제도에 기초를 둔 현행 형사 절차에의 시민참여 방식과 달리, 민사재판에의 시민참여의 방식은 참심제를 도입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이에 대한 논의는 양 절차가 기본적 이념에 있어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형사절차의 시민참여의 기본이념은 비법률적, 비전문적 일반시민이 가지고 있는 ‘상식’에 바탕을 두고 있는 반면에, 민사절차에서의 시민참여의 기본이념은 여러 전문가 집단의 ‘전문적 지식’의 협업에 있다고 보았다. 민사사건의 경우 나날이 발전된 기술과 결합되어 더욱 더 복잡다기해지고 있는 점에 비추어 민사사건에의 전문가참여가 요청되고, 효율적이고 적정한 분쟁해결을 위해서는 학제간, 전문지식 영역간의 융합적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융합과 더불어 고령화 시대가 시대적 화두이다. 우리는 노령사회라는 용어 대신 고령화 사회라는 말을 즐겨 쓴다. 아마도 고령이라는 용어가 보다 노동친화적인 것으로 오늘날 우리 사회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고령화 시대에서 우리는 수많은 전문가 집단을 활용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을 갖추고 있다. 사법에의 시민 참여의 문호를 넓혀 나가는 것은 고령화 시대를 융합이라는 콘텐츠로 재창조하는 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작금 전문화된 젊은 은퇴자들을 양산해 내고 있는 것이 우리 사회의 현주소이다. 이러한 사회 현실을 진단하여, 과거 시민참여제도의 주된 논거로 작용한 ‘상식’을 ‘전문지식’이라는 새로운 프레임으로 대체하여야 한다는 점이 아래 글의 핵심적 요지이다. 이와 함께 민사영역에서의 독일의 참심제를 비교법적으로 고찰한 다음, 참심제가 오늘날의 우리사회에서 분출되고 있는 복잡한 양상의 민사사건 처리에 가장 부합하는 시민의 민사절차 참여 방식이라고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래 글은 참심제 도입영역으로 상사사건, 노동사건, 사회보장사건, 지적재산사건 등 네 분야를 들고, 각각의 경우 구체적인 도입방안 제안으로 마무리하고 있다.
영문 초록
Korea is not strange to jury system. Since 2008 the Korean law has allowed lay participation on Criminal Trials. Ought this form of jury trial to be expanded to Korean Civil Trials? This essay proposes to reform Korean legal structures, aiming to achieve a more effective judicial deliberative body. In my view civil courts should use professionals as lay assessor in cases requiring professional expertise. In order to reach this conclusion I have researched my study in two aspects.
First, I compared the civil trial to criminal regarding participation by lay assessors in the judicial process. In contrast to criminal trial civil trial should be supplemented not by common sense, but by expertise, as civil matters are becoming more and more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comprehend. An then I have analysed German “ehrenamtliche Richter”, This analysis offered to this essay the grounds for introducing honorary judge in some civil matter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시민의 사법참여 도입 논의의 현황과 문제점
Ⅲ. 독일에서의 시민의 사법참여제도의 발전과 그 현황
Ⅳ. 참심제도의 도입가능성과 운영 방안
Ⅴ. 참심재판 도입영역과 구체적인 제도 운영 방안
Ⅴ. 마치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장애인권리옹호체계(P&A System)의 국내법체계 수용가능성
- 주권상장법인의 다양한 종류의 주식 발행에 관한 소고
- 位置商標(Position Mark)에 대한 比較法的 硏究
- 중국정부의 거시적 조절정책의 규범적 효력에 관한 연구
- 정신병적 아동성범죄자에 대한 형사정책적 대안
- 일수벌금형제도의 도입방안에 대한 제언
- 통고처분에 관한 소고
- 보통법계 국가에서의 주주대표소송 현황
- 특허침해소송에서 권리남용 법리 적용의 문제점
- 부부 쌍방의 소극재산 총액이 적극재산 총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재산분할이 가능한지 여부
- 예방접종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의 성립요건
- 위법수집증거와 독수과실의 원칙의 제한
- 주식회사 경영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상법상의 제도변천에 관한 연구
- 청산적 재산분할과 부양적 재산분할의 독립과 ‘2분의 1 원칙’에 대한 재고
- 중국 영상산업(影视産業)의 외국인투자 규제에 관한 법제 연구
- 서해 북방한계선(NLL)의 법적 문제와 평화적 해법
- 사용자의 언론의 자유와 부당노동행위
- 재산명시제도의 재조명
- 시민의 민사재판 참여 방안
- 오늘날 프랑스 꽁세이데따의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
- 손해방지의무와 손해방지비용에 대한 보험계약법상 고찰
- 중국의 자유무역협정(FTA)에서의 환경규정
- 미군정기 미법률고문과 대륙법 및 영미법의 교착
- 농지(農地)의 정의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 미술품거래사기에 관한 몇 가지 쟁점
- 수사단계의 적법절차원리에 대한 고찰
- 남북경협사업과 투자분쟁의 해결
-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상 탈북민의 법적 지위
- 캐나다 전자소송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미국헌법상 근본적 권리와 한국헌법상 열거되지 아니한 자유와 권리의 도출근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