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손해방지의무와 손해방지비용에 대한 보험계약법상 고찰
이용수 307
- 영문명
- Die Versicherungsvertragsgesetzliche Überlegung über die Rettungspflicht und Rettungskosten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 저자명
- 김은경(Kim, Eun-Kyung)
- 간행물 정보
- 『법학논총』제20권 제2호, 745~77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 상법 제680조에 따라 보험계약자 내지 피보험자는 보험손해를 저지하고 감경할 의무가 있다. 또한 보험자는 보험계약자의 손해방지비용청구권에 따라 그 비용을 전보하여야 한다. 비록 보험손해액과 손해방지비용의 총액이 보험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일지라도 보험자는 이 전체 금액을 보험계약자에게 보상하여야 한다. 이때에 보험자의 지시여부는 판단의 대상이 되지 아니한다. 그러나 이 문제로 오랫동안 상법 제680조의 개정에 대한 고려와 논의가 계속되기도 하였다.
우리 상법 제680조는 구 독일보험계약법 제62조 및 제63조를 그 모범계로 삼아 제정된 것이다. 그런데 최근 구 독일보험계약법 제62조 및 제63조가 개정되어 제82조 및 제83조로 되었다. 몇 가지의 변화가 생겼다. 우리 상법과 독일보험계약법의 근본적인 차이로 우리 상법은 손해방지의무 위반의 효과에 관한 규정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과 보험계약자에게 보험자에게 지시를 구할 의무와 그 지시를 따를 의무를 따로 정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그 외에도 우리 상법은 보험금액을 통하여 전보할 금액에 대한 제한이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우리 상법에 독일보험계약법 제82조 및 제83를 개정을 위한 입법례로 삼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다만 이때에 우리가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우리 상법 제680조의 합목적성의 고려와 함께 독일보험계약법이 전부 또는 전무의 원칙을 포기하고 중과실비례보상제도를 새롭게 규정한 그 근간 및 독일보험계약법 제90조의 취지를 통하여 비용 보상의 범위를 확대한 취지를 우선 인식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Nach dem koreanischen Handelsgesetzbuch(KHGB) § 680 hat Versicherungsnehmer bzw. Versicherten die Rettungspflicht, also für die Abwendung und Minderug des Versicherungsschadens zu sorgen. Der Anspruch gemäß dieser Regelung ist auf Aufwendungsersatz. Nach dem Aufwendungsersatzanspruch des Versicherungsnehmers hat der Versicherer den Aufwendungen zu erstatten. Obwohl der gesamte Betrag, der zwiscehn dem Versicherungsschaden und den Rettungskosten addiert ist, die Versicherungssummen übersteigen, hat der Versicherer diesen gesamt Betrag ohne Weisungen zu erstatten.
Auf die lange Zeit hat sich die Überlegung und Debatte über die Änderung fortgesetzt. Dabei war das deutsche Versicherungsvertragsgesetz(VVG) §§ 82-83 (§§ 62-63 a. F.) ein gesetzgeberisches Vorbild. Es gibt grosse Unterschiede zwischen dem VVG und dem KHGB. Es gibt keine Regelung über die Verletzungsfolgen und die Obliegenheit zur Weisungseinholung, Obliegenheit zur Weisungsbefolgung im KHGB. Darüber hinaus gibt es keine Begrenzungen durch die Versicherungssumme hinsichtlich des Erstattungsanspruches. Es wäre möglich, §§ 82-83 VVG als das gesetzgeberische Vorbild aufzunehmen. Es ist jedoch gleichzeitig zu überlegen, bei der Änderung dieser Regleung Quotelung nach der Schwere des Verschuldens und erweiterem Aufwendungsersatz in Sinne von § 90 VVG.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독일보험계약법상 손해방지의무에 대한 전개
Ⅲ. 독일보험계약법상 손해방지비용에 대한 논의
Ⅳ. 우리 상법에의 시사점
Ⅴ. 맺는 말
【참고문헌】
【Zusammenfassung】
키워드
손해방지의무
손해경감의무
손해방지비용
방어비용
보험손해
보험자의 지시를 구할 의무
보험자의 지시를 따를 의무(보험자의 지시준수의무)
중과실비례보상
Rettungspflicht(Schadensabwendungspflicht)
Schadenminderungspflicht
Rettungskosten
Rechtsschtzkosten
Versicherungsschaden
Obliegenheit zur Weisungseinholung
Obliegenheit zur Weisungsbefolgung
Quotelung nach der Schwere des Verschulden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장애인권리옹호체계(P&A System)의 국내법체계 수용가능성
- 주권상장법인의 다양한 종류의 주식 발행에 관한 소고
- 位置商標(Position Mark)에 대한 比較法的 硏究
- 중국정부의 거시적 조절정책의 규범적 효력에 관한 연구
- 정신병적 아동성범죄자에 대한 형사정책적 대안
- 일수벌금형제도의 도입방안에 대한 제언
- 통고처분에 관한 소고
- 보통법계 국가에서의 주주대표소송 현황
- 특허침해소송에서 권리남용 법리 적용의 문제점
- 부부 쌍방의 소극재산 총액이 적극재산 총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재산분할이 가능한지 여부
- 예방접종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의 성립요건
- 위법수집증거와 독수과실의 원칙의 제한
- 주식회사 경영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상법상의 제도변천에 관한 연구
- 청산적 재산분할과 부양적 재산분할의 독립과 ‘2분의 1 원칙’에 대한 재고
- 중국 영상산업(影视産業)의 외국인투자 규제에 관한 법제 연구
- 서해 북방한계선(NLL)의 법적 문제와 평화적 해법
- 사용자의 언론의 자유와 부당노동행위
- 재산명시제도의 재조명
- 시민의 민사재판 참여 방안
- 오늘날 프랑스 꽁세이데따의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
- 손해방지의무와 손해방지비용에 대한 보험계약법상 고찰
- 중국의 자유무역협정(FTA)에서의 환경규정
- 미군정기 미법률고문과 대륙법 및 영미법의 교착
- 농지(農地)의 정의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 미술품거래사기에 관한 몇 가지 쟁점
- 수사단계의 적법절차원리에 대한 고찰
- 남북경협사업과 투자분쟁의 해결
-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상 탈북민의 법적 지위
- 캐나다 전자소송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미국헌법상 근본적 권리와 한국헌법상 열거되지 아니한 자유와 권리의 도출근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