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사단계의 적법절차원리에 대한 고찰
이용수 567
- 영문명
- The Study on Due Process of Law Investigation Procedures - Focusing on the de Facto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 저자명
- 박혜림(Park, He-Rim)
- 간행물 정보
- 『법학논총』제20권 제2호, 581~60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에는 조세, 공정거래, 근로관계, 의약 등 다양하고 전문적인 분야에서 검찰에 기소되기 이전에, 사법경찰관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사를 대신하거나 수사와 함께 전문행정기관에 의해 조사, 심의를 받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는 전문성을 요하는 분야의 경우, 사법경찰관 및 검찰에 의한 전통적인 수사가 아닌 행정기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전문적이기 때문이다. 현실에서는 사법 경찰관의 수사단계와 유사하게, 행정기관에 의해 조사를 받고 그에 따른 결과가 검찰 기소과정과 공판에 이용되기 때문에 조사단계에서 피심인의 절차적 권리가 수사단계의 절차적 권리만큼 중요하다.
이러한 행정수사는 행정조사와 사법경찰관 및 검찰의 수사와의 관계에 따라 세 가지 모델로 분류할수 있다. 법률상 사법경찰권을 행정청의 공무원이 위임받아 수사하는 통합모델, 법률상은 수사와 분리되어 있으나, 전속고발권에 의해 행정조사와 수사가 기능적으로 협동관계인 협업모델, 마지막으로 법률상은 물론 기능적으로도 분리되어 있는 관계인 분리모델이 그것들이다. 행정수사의 세 가지 모델에 따라 적법절차원칙의 구현 정도가 다르다. 통합모델의 경우 법률상 특별사법경찰관의 직무를 위임받기 때문에 형사상 수사 수준으로 적법절차원리가 적용되어야 한다. 행정절차의 효율성보다는 피의자의 인권과 절차 자체의 공정성이 중요시되어야 한다. 협업모델의 경우 형사 수사상의 성격과 행정절차로서의 성격이 함께 있기 때문에 적법절차원칙의 방법과 정도를 가늠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 모델에서는 규제기관과 피규제자간의 대등한 구조를 절차적으로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이를 위해서는 조사 중재자이자 피심인의 청문을 적극적으로 도와주는 청문관 제도가 유용하다고 보여진다. 분리 모델의 경우 법률상은 물론 기능상으로도 사법경찰관 및 검찰의 수사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당사자의 절차적 권리보장이 형사상 수사처럼 강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행정처분의 효율성과 신속성에 가치를 두어 비용편익을 가치 형량 하여 절차적 권리를 제한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Recently, a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is replaced with the criminal investigation by police and prosecutors in diverse and specialized fields such as economy, medicine and taxation as it would be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However, although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is effectively replaced to criminal investigation in reality, due process of law to the extent of that in criminal investigation doesn't apply to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inal investigation by a police or the prosecution and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this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could be categorized by three types: integration model, cooperation model and separation model. Firstly, the integration model means administrative public officers are invested with authority on the challenged issue, then stand in police investigation and examination of the prosecution in law. Secondly, the cooperation model means that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are legally separated with police investigations and examination of the prosecution, but functionally related with them. Lastly, the separation model means that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are separated with police investigations and examination of the prosecution functionally as well as legally.
The embodiment of Principle of Due Process of law is likely to depend on the type of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In the integration model, due process of law is embodied as the extent to that of criminal investigation. In the cooperation model, it is not easy to set up the extent of embodiment of Principle of Due Process of law as the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is both administrative process and criminal process. Due process of law should be embodied to correct asym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administrative agency) and the regulated in cooperation model. In the separation model, It is not worth to assure procedural rights as well criminal investigation, but to restrict procedural rights due to cost and time efficiency.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적법절차원리의 확대와 행정수사
Ⅲ. 행정조사(수사)에서의 적법절차원리의 구현
Ⅳ. 공정거래위원회의 행정조사에서의 적용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장애인권리옹호체계(P&A System)의 국내법체계 수용가능성
- 주권상장법인의 다양한 종류의 주식 발행에 관한 소고
- 位置商標(Position Mark)에 대한 比較法的 硏究
- 중국정부의 거시적 조절정책의 규범적 효력에 관한 연구
- 정신병적 아동성범죄자에 대한 형사정책적 대안
- 일수벌금형제도의 도입방안에 대한 제언
- 통고처분에 관한 소고
- 보통법계 국가에서의 주주대표소송 현황
- 특허침해소송에서 권리남용 법리 적용의 문제점
- 부부 쌍방의 소극재산 총액이 적극재산 총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재산분할이 가능한지 여부
- 예방접종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의 성립요건
- 위법수집증거와 독수과실의 원칙의 제한
- 주식회사 경영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상법상의 제도변천에 관한 연구
- 청산적 재산분할과 부양적 재산분할의 독립과 ‘2분의 1 원칙’에 대한 재고
- 중국 영상산업(影视産業)의 외국인투자 규제에 관한 법제 연구
- 서해 북방한계선(NLL)의 법적 문제와 평화적 해법
- 사용자의 언론의 자유와 부당노동행위
- 재산명시제도의 재조명
- 시민의 민사재판 참여 방안
- 오늘날 프랑스 꽁세이데따의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
- 손해방지의무와 손해방지비용에 대한 보험계약법상 고찰
- 중국의 자유무역협정(FTA)에서의 환경규정
- 미군정기 미법률고문과 대륙법 및 영미법의 교착
- 농지(農地)의 정의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 미술품거래사기에 관한 몇 가지 쟁점
- 수사단계의 적법절차원리에 대한 고찰
- 남북경협사업과 투자분쟁의 해결
-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상 탈북민의 법적 지위
- 캐나다 전자소송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미국헌법상 근본적 권리와 한국헌법상 열거되지 아니한 자유와 권리의 도출근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