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수벌금형제도의 도입방안에 대한 제언
이용수 452
- 영문명
- The Suggestion on the Introduction of Day Fine System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 저자명
- 오경식(Oh, Kyung-Sik)
- 간행물 정보
- 『법학논총』제20권 제2호, 533~55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행 형법의 벌금형은 총액벌금형제도로서 범죄인의 불법과 책임을 정확하게 액수로 산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벌금총액의 산정에 범죄인의 빈부차를 고려할 수 없어 가난한 자에게는 대체자유형의 집행으로 단기자유형으로의 전환을 강제하고, 부자에게는 형벌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여러 문제점 등이 제기된다.
총액벌금형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의 논거에 의해 일수벌금형제도의 도입을 제안한다.
첫째, 불법과 책임이 동일한 행위를 일수로 산정하고 일수정액을 평가할 때 행위자의 경제적 능력 등을 고려함으로써, 법관의 양형과정에서 발생되는 자의적 판단을 배제함으로써 양형상의 격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형사사법제도의 신뢰증진의 측면에서 경제적 능력에 적합한 벌금형을 부과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동등한 형벌효과와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대체자유형의 집행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단기자 유형의 폐해로부터 벌금미납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벌금형 노역장유치처분을 폐지함에 따라 자유형 또는 사회봉사명령으로 대체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법제정당시와 여러 가지 경제 상황의 변화(예: 부동산실명제, 금융실명제 등)에 의해 경제적 정보 수집이 비약적으로 발전됨에 따라 도입의견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이 제시되었다.
넷째, 단기자유형의 폐해를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벌금형 미납시의 환형유치에 대한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다.
다섯째, 일수벌금형제도는 집중적 보호관찰, 전자감시에 의한 가택구금, 일일보고센터, 약물남용 치료센터 입원 및 통원 등 여타의 중간적 제재들에 비하여 운영비가 비교적 저렴하며, 일수벌금이 단기자유형을 대체하는 만큼 귀하고도 값비싼 자원인 교도소, 구치소, 보호관찰 자원을 공공의 안전에 더 큰 위험을 초래하는 범죄자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일수벌금제도를 실시하면 현실적으로 경제상황에 맞게 벌금형을 선고하므로 더 많은 벌금 수입이 발생하며, 벌금형 집행절차와 관련하여 감독에 많은 비용이 절감되게 된다.
또한 일수벌금형제도의 도입을 전제로 총론적 개정입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sum total fine penalty system, which is the monetary penalty system of the existing criminal law, faces controversy that a criminal’s illegality and responsibility cannot be computed at an accurate sum. Also because the criminal’s financial status is not considered, when substitute imprisonment is enforced, the poor are forced to choose short term imprisonment while the rich do not receive enough punishment.
The imposition of the “day fine system” is desirabl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sum total fine penalty system for the following arguments.
First, “day fine system” serves as a reasonable monetary penalty system. When imposing legal liability as a result of illegality, the wrongdoer’s financial status is considered. As a result, a judge’s arbitrary decision is avoided, minimizing the gap of punishments.
Secon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develops trust through giving out equal effects of punitive action. Furthermore, the rate of enforcing substitute imprisonment declines, which helps protect fine defaulters from negative effects of short term imprisonment.
Third, “day fine system” presents a standard of shifting monetary penalty to either restriction of physical freedom or social service order as a result of abolishing imprisonment in workhouse.
At the time of the legislation, changes in economic circumstances (e.g. the real-name property ownership system, the real-name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occurred. This made it easier to collect financial information, which is why “day fine system” would be a desirable imposition.
Forth,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short term imprisonment can be avoided. When the degree of crime is high and the judge has a choice of sentencing imprisonment or monetary penalty, the judge has a tendency to sentence imprisonment. However “day fine system” reduces such tendency and expands the range of monetary penalties. This can help reduce negative effects of short term imprisonment and displays a clear standard when sentencing detention in labor house to fine defaulters.
Fifth, the expense of “day fine system” is more reasonable compared to medium restrictions such as probation, custody through electronic surveillance, daily reporting centers, inpatient (outpatient) treatments in drug treatment centers etc. As this system substitutes short term imprisonments, criminals who are a larger threat to public safety can be committed to costly centers such as prisons, detention centers, and probation sources.
Sixth, “day fine system” allows the judge to consider the economic situation when sentencing a monetary penalty, resulting in a larger sum of revenue. This reduces the expense of supervision.
I suggest the amendment of law based on the imposition of the “day fine system”.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현행 벌금형제도의 과제 및 일수벌금형제도의 내용
Ⅲ. 일수벌금형제도 도입에 대한 논의
Ⅳ. 일수벌금형제도 도입 방안
Ⅴ. 결론 및 입법론 제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장애인권리옹호체계(P&A System)의 국내법체계 수용가능성
- 주권상장법인의 다양한 종류의 주식 발행에 관한 소고
- 位置商標(Position Mark)에 대한 比較法的 硏究
- 중국정부의 거시적 조절정책의 규범적 효력에 관한 연구
- 정신병적 아동성범죄자에 대한 형사정책적 대안
- 일수벌금형제도의 도입방안에 대한 제언
- 통고처분에 관한 소고
- 보통법계 국가에서의 주주대표소송 현황
- 특허침해소송에서 권리남용 법리 적용의 문제점
- 부부 쌍방의 소극재산 총액이 적극재산 총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재산분할이 가능한지 여부
- 예방접종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의 성립요건
- 위법수집증거와 독수과실의 원칙의 제한
- 주식회사 경영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상법상의 제도변천에 관한 연구
- 청산적 재산분할과 부양적 재산분할의 독립과 ‘2분의 1 원칙’에 대한 재고
- 중국 영상산업(影视産業)의 외국인투자 규제에 관한 법제 연구
- 서해 북방한계선(NLL)의 법적 문제와 평화적 해법
- 사용자의 언론의 자유와 부당노동행위
- 재산명시제도의 재조명
- 시민의 민사재판 참여 방안
- 오늘날 프랑스 꽁세이데따의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
- 손해방지의무와 손해방지비용에 대한 보험계약법상 고찰
- 중국의 자유무역협정(FTA)에서의 환경규정
- 미군정기 미법률고문과 대륙법 및 영미법의 교착
- 농지(農地)의 정의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 미술품거래사기에 관한 몇 가지 쟁점
- 수사단계의 적법절차원리에 대한 고찰
- 남북경협사업과 투자분쟁의 해결
-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상 탈북민의 법적 지위
- 캐나다 전자소송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미국헌법상 근본적 권리와 한국헌법상 열거되지 아니한 자유와 권리의 도출근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