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의 성(誠)을 중심으로 한 중용의 ‘성기성물(成己成物)’ 재해석: 교육개혁의 상향식 전환을 위한 프랙탈적 접근

이용수  0

영문명
Teachers’ Seong (誠) and the Generative Dynamics of Seonggi–Seongmul in the Jungyong: A Fractal Approach to Bottom-Up Educational Reform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박청미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6호, 523~55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교육개혁이 중앙집중식 하향식 정책의 구조적 한계와, 현장 주도형 개혁이 제도관리의 틀 속에서 표준화·형식화됨에 따라 변화의 내적 동력이 약화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기존 연구들이 행정·제도적 조건의 제약 속에서 혁신이 지속되지 못한 원인을 설명해 왔다면, 본 연구는 이러한 설명만으로는 교사의 실천이 지속되고 갱신되는 근본적 이유를 밝히기 어렵다고 본다. 이에 교사의 실천을 가능하게 하고 지속시킬 수 있는 근원적 힘과 그 철학적 근거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교육개혁 모델을 제시한다. 중용의 성기성물(成己成物) 개념과 현대 과학의 복잡계 이론을 결합한 ‘성기성물 프랙탈 모델’은 성(誠)을 자신의 삶과 교육을 분리할 수 없는 근본적 가치로 삼아 존재론적 태도를 형성하고, 내적 성찰을 외적 실천으로 이끌어내는 규범적 동력으로 해석한다. 성은 관계적 실천[仁], 성찰[知], 지속적 실행[勇]의 구체적 행위로 드러나며, 성기(成己)와 성물(成物)의 순환 속에서 자기유사적 패턴을 지닌 프랙탈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는 교실 및 교무실·학교·제도라는 다층적 스케일에서 반복·확산되며, 상향식 변화를 추동하는 동역학으로 작동한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유가 사상을 현대 교육학 담론 속에서 새롭게 재맥락화하고, 사랑[仁]에 기반한 성(誠)의 생성적 작용을 통해 교육을 존재론적 생성의 리듬 속에서 재구성하는, 교사 중심의 지속 가능한 교육개혁을 설명하는 새로운 철학적·이론적 토대를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ddresses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centralized, top-down reforms in Korea and the weakening of intrinsic change dynamics as teacher-led initiatives become standardized within institutional frameworks. It seeks to identify the inner force and philosophical foundation that sustain teachers’ practice and proposes a new reform model. The “Seonggi–Seongmul Fractal Model,” combining the Confucian concept of Seonggi–Seongmul (成己成物) from the Jungyong with Complex Systems Theory, interprets Seong (誠, sincerity) as a fundamental value uniting life and education. Seong functions as a normative force guiding reflection toward practice and appears through relational action (In 仁), reflection (Ji 知), and continuous enactment (Yong 勇). This fractal structure, repeating across the scales of classroom, faculty office, school, and institution, drives bottom-up transformation and recontextualizes Confucian thought within contemporary educational discourse by presenting a new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sustainable, teacher-centered reform grounded in the generative dynamic of Seong (誠) emerging from love (In 仁) and resonating with the ontological rhythm of creation.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중용 성기성물의 구조와 성(誠)의 존재론적 작용
Ⅲ. 교육개혁의 설명 틀로서 복잡계의 동역학
Ⅳ. 성(誠)을 중심으로 한 ‘성기성물’ 프랙탈 모델 구축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청미. (2025).교사의 성(誠)을 중심으로 한 중용의 ‘성기성물(成己成物)’ 재해석: 교육개혁의 상향식 전환을 위한 프랙탈적 접근. 교육학연구, 63 (6), 523-551

MLA

박청미. "교사의 성(誠)을 중심으로 한 중용의 ‘성기성물(成己成物)’ 재해석: 교육개혁의 상향식 전환을 위한 프랙탈적 접근." 교육학연구, 63.6(2025): 523-5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